명심보감 해석연습장 |
1. 계선편 2. 천명편 3. 순명편~효행편 4. 정기편 5. 안분편~계성편 6. 근학편~훈자편 7. 성심편(상) 8. 성심편(하) 9. 입교편~치정편 10. 치가편~준례편 11. 언어편~부행편 12. 증보편~팔반가팔수 13. 효행편 속편~근학편 |

見人之善이어든 而尋己之善하고 見人之惡이어든 而尋己之惡이니 如此면 方是有益이니라
해석
大丈夫 當容人이언정 無爲人所容이니라
해석
勿以貴己而賤人하고 勿以自大而蔑小하고 勿以恃勇而輕敵이니라
해석
聞人之過失이어든 如聞父母之名하여 耳可得聞이언정 口不可言야니라.
해석
聞人之謗이라도 未嘗怒하며 聞人之譽라도 未嘗喜하며 聞人之惡이라도 未嘗和하며 聞人之善則就而和之하고 又從而喜之니라 見善人하며 樂聞善事하며 樂道善言하며 樂行善意하고 聞人之惡이어든 如負芒刺하고 聞人之善이어든 如佩蘭蕙하라
해석
道吾善者는 是吾賊이오 道吾惡者는 是吾師니라
해석
勤爲無價之寶요 愼是護身之符니라
해석
保生者는 寡慾하고 保身者는 避名이니 無慾은 易나 無名은 難이니라
해석
子曰 君子有三戒하니 少之時엔 血氣未定이라 戒之在色하고 及其長也하얀 血氣方剛이라 戒之在鬪하고 及其老也하얀 血氣旣衰라 戒之在得이니라
해석
怒甚偏傷氣오 思多太損神이라 神疲心易役이오 氣弱病相因이라 勿使悲歡極하고 當令飮食均하며 再三防夜醉하고 第一戒晨嗔하라
해석
食淡精神爽이오 心淸夢寐安이니라
해석
定心應物하면 雖不讀書라도 可以爲有德君子이니라
해석
懲忿을 如救火하고 窒慾을 如防水하라
해석
避色을 如避讐하고 避風을 如避箭하며 莫喫空心茶하고 小食中夜飯하라
해석
無用之辯과 不急之察을 棄而勿治하라
해석
衆好之라도 必察焉하며 衆惡之라도 必察焉이니라
해석
酒中不語 眞君子요 財上分明은 大丈夫이니라
해석
萬事從寬이면 其福自厚이니라
해석
慾量他人인대 先須自量하라 傷人之語는 還是自傷이니 含血噴人이면 先汚其口이니라
해석
凡戱는 無益이오 惟勤이 有功이니라
해석
瓜田에 不納履하고 李下에 不正冠이니라
해석
心可逸이언정 形不可不勞요 道可樂이언정 心不可不憂니 形不勞則怠惰易弊하고 心不憂則荒淫不定故로 逸生於勞而常休하고 樂生於憂而無厭하나니 逸樂者는 憂勞를 豈可忘乎아
해석
耳不聞人之非하고 目不視人之短하고 口不言人之過라야 庶幾君子니라
해석
喜怒는 在心하고 言出於口하니 不可不愼이니라
해석
朽木은 不可雕也요 糞土之墻은 不可言也니라
해석
福生於淸儉하고 德生於卑退하고 道生於安靜하고 命生於和暢하고 道生於安靜하고 命生於和暢하고
해석
憂生於多慾하고 禍生於多貪하고 過生於輕慢하고 罪生於不仁이니
해석
戒眼莫看他非하고 戒口莫談他短하고 戒心莫自貪嗔하고 戒身莫隨惡伴하고 無益之言을 莫妄說하고 不干己事를 莫妄爲하고
해석
尊君王孝父母하며 敬尊長奉有德하고 別賢憂恕無識하고 物順來而勿拒하며 物旣去而勿追하고 身未遇而勿望하며 事已過而勿思하라
해석
聰明도 多暗昧요 算計도 失便宜니라
해석
損人終自失이오 依勢禍相隨라
해석
戒之在心하고 守之在氣라 爲不節而亡家하고 因不廉而失位니라
해석
勸君自警於平生하나니 可歎可警而可思畏니라
해석
上臨之以天鑑하고 下察之以地祇라 明有三法相繼하고 暗有鬼神相隨라 惟正可守요 心不可欺니 戒之戒之하라
해석
'한자 공부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9~10 - 근학편 훈자편 (0) | 2024.09.21 |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6~#8 - 안분편, 존심편, 계성편 (1) | 2024.09.20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3 #4 - 순명편, 효행편 (0) | 2024.09.19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2 - 천명편 (0) | 2024.09.17 |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 - 계선편 (4) | 2024.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