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1

by 온암 2024. 10. 11.
300x250
728x170

들어가며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니 영역이 참 많네요... 세 파트로 나눠 3~4학년군 성취기준을 올려볼 예정입니다.

추가하는대로 #초등임용 과학 페이지에 반영해놓겠습니다.

 

 

(1) 힘과 우리 생활

[4과01-01] 일상생활에서 힘과 관련된 현상에 흥미를 갖고, 물체를 밀거나 당길 때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해설무거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가벼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 드는 힘의 크기를 느끼는 데 중점을 둔다.

[4과01-02] 수평잡기 활동을 통해 물체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

[4과01-03] 무게를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저울이 필요함을 알고, 저울을 사용해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

해설무게와 질량을 구분하지 않으며 무게를 비교하는 단위로 g, ㎏(2가지)을 사용한다.

[4과01-04] 지레, 빗면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면 물체를 들어 올릴 때 드는 힘의 크기가 달라짐을 알고, 도구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조사하여 공유할 수 있다.

해설지레, 빗면과 같은 간단한 도구를 이용할 때 힘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점을 관찰하는 데 중점을 두며, 도구의 원리구조적 특성을 다루지 않는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5∼6학년군 ‘물체의 운동’, 중학교 1∼3학년군 ‘힘의 작용’과 연계된다.

• 무게를 비교할 때는 용수철저울이나 전자저울 등을 사용하고, 분동을 사용하는 윗접시저울은 다루지 않는다.

• 조사한 내용을 공유할 때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으며,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 발표 자료 만들기를 할 수 있다.

 

 

(2) 동물의 생활

[4과02-01] 여러 가지 동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동물을 분류할 수 있다.

해설동물의 형태적 특징을 찾고 그 특징에 따라 분류 기준을 정하여 분류하는 활동을 하도록 하며 생물학적 분류 체계는 다루지 않는다.

[4과02-02]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동물을 조사하여 동물의 생김새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해설식지에 따른 동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의 다양성을 다루고, 적응 개념은 다루지 않는다.

[4과02-03] 동물의 특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용품을 설계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3∼4학년군 ‘생물의 한살이’, ‘생물과 환경’, 5∼6학년군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과 중학교 1∼3학년군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동물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동물의 생활’에서는 여러 가지 동물의 형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관찰, 분류 활동을 한다.

 

 

(3) 식물의 생활

[4과03-01] 여러 가지 식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식물을 분류할 수 있다.

해설여러 가지 식물의 잎을 채집해 생김새 등과 같은 외형적 특징에 따라 기준을 세워 분류하는 활동을 하며 생물학적 분류 체계는 다루지 않는다.

[4과03-02]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식물을 조사하여 식물의 생김새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해설서식지에 따른 식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의 다양성을 다루고, 적응 개념은 다루지 않는다.

[4과03-03] 식물의 특징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활용품을 설계하여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3∼4학년군 ‘생물의 한살이’, ‘생물과 환경’, 5∼6학년군 ‘식물의 구조와 기능’과 중학교 1∼3학년군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식물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여러 가지 식물을 줄기, , 등으로 분류 활동을 할 수 있으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물의 잎을 대상으로 활동하도록 한다.

• 초등학교 5∼6학년군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서 각 부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다루므로 ‘식물의 생활’에서는 여러 가지 식물의 을 중심으로 관찰, 분류 활동을 한다.

 

 

(4) 생물의 한살이

[4과04-01] 동물의 한살이를 직접 관찰하고, 관찰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4과04-02] 식물이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을 찾는 실험을 설계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해설씨가 싹트는데 필요한 조건은 물과 온도(2가지)로 한정하고,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조건은 물과 햇빛(2가지)으로 제한한다.

[4과04-03] 생물의 한살이 과정을 조사하여 생물에 따라 한살이의 유형이 다양함을 소개하는 자료를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해설한살이의 유형을 이해하는 생물의 범위는 동물식물에 한정하여 다루고, 식물의 한살이 유형은 한해살이여러해살이로 구분하여 이해하도록 한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3∼4학년군 ‘동물의 생활’, ‘식물의 생활’, ‘생물과 환경’, 5∼6학년군 ‘식물의 구조와 기능’,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중학교 1∼3학년군 ‘식물과 에너지’, ‘동물과 에너지’와 연계된다.

• 동물의 한살이 관찰을 위해서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한살이 기간이 짧은 동물(예: 배추흰나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동물의 한살이 관찰을 통하여 동물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증대시키는 것도 중요한 목표이므로 동물을 직접 관찰하는 활동을 권장하며, 보조 학습 자료로 동영상이나 누리망을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글과 그림으로 한살이를 표현해 보도록 지도할 수 있다.

• 동물의 한살이 관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관찰 대상을 미리 준비해야 하며, 교수/학습 전개 시 수업 차시에 따라 연속하여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동물의 한살이 정도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수업 시간을 재구성하는 것이 좋다.

 

 

(5) 물체와 물질

[4과05-01] 물체를 이루는 여러 가지 물질성질을 비교하고, 물질의 종류에 따라 물체분류할 수 있다.

해설나무, 철, 유리, 플라스틱 등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질의 다양한 성질을 관찰하고 비교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물체를 물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도록 한다.

[4과05-02] 물질의 세 가지 상태인 고체, 액체, 기체의 성질을 관찰하여 비교할 수 있다.

해설물질의 세 가지 상태인 고체, 액체, 기체의 성질을 관찰하고 비교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한 가지 물질이 여러 가지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은 다루지 않는다.

[4과05-03] 다양한 물질성질을 이용하여 쓰임새 있는 물체를 설계할 수 있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3∼4학년군 ‘물의 상태 변화’, ‘여러 가지 기체’, 5∼6학년군 ‘혼합물의 분리’, 중학교 1∼3학년군 ‘물질의 특성’과 연계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체를 기초적인 아이디어 수준에서 설계하며, 물체의 쓰임새에 적합한 성질을 지닌 물질을 이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도한다.

300x250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