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는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였습니다. (출처: ncic.re.kr)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성격 및 목표
가. 성격
'과학'은 '과학적 소양을 갖추고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사람'을 육성하기 위한 교과;//과학과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인간상?
'과학' 교과에서는 모든 학생이 ①과학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②과학 탐구 능력과 태도를 길러, ③자연과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④민주 시민으로서 개인과 사회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고 참여/실천하는 역량 함양에 중점
'과학'은 ①초등학교 1∼2학년에서 학습한 내용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역량을 함양하고, ②고등학교 과학 교과목 학습에 필요한 과학 기초 학력을 보장하기 위한 교과; '과학'은 초등학교 1∼2학년의 '슬기로운 생활'과 고등학교 1학년의 '통합과학1, 2', '과학탐구실험1, 2', 그리고 고등학교 일반선택, 융합선택 및 진로선택 과목과 긴밀하게 연계
'과학'은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및 과학과 사회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2025초등
➜ 운동과 에너지 영역에서는 힘과 에너지, 전기와 자기, 열, 빛과 파동 등을 다루며, 물질 영역에서는 물질의 성질, 물질의 변화, 물질의 구조 등을 다룸; 생명 영역에서는 생물의 구조와 에너지, 항상성과 몸의 조절, 생명의 연속성, 환경과 생태계, 생명과학과 인간의 생활 등을 다루며,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고체 지구, 유체 지구, 천체 등을 다룸; 과학과 사회 영역에서는 이들 4개 영역의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과학과 안전, 과학과 지속가능한 사회, 과학과 진로 등을 다룸
미래 사회는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융복합 영역이 창출되는 사회로, ①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전문가 집단과 ②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이 함께 이끄는 사회; '과학'에서는 다양한 탐구 중심의 학습을 통해 '과학'의 5개 영역과 관련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세 차원을 상호보완적으로 함양함으로써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를 습득하고, 행위 주체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을 것
나. 목표
자연 현상과 일상생활에 대하여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적 탐구를 통해 주변의 현상을 이해하고,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민주 시민으로서 참여하고 실천하는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
(1) 자연 현상과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인식하고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2) 과학의 탐구 방법을 이해하고 자연 현상과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른다.
(3) 자연 현상과 일상생활을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과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한다.
(4)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개인과 사회의 문제해결에 민주 시민으로서 참여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기른다.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빈칸 - 초등학교 5~6학년군 (2) | 2024.11.25 |
---|---|
(초등임용) 2022 실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빈칸연습 (1) | 2024.11.24 |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 온라인암기장 (2) | 2024.11.21 |
초등임용 음악 교수학습 빈칸연습 (2022개정 교육과정) (6) | 2024.11.03 |
2022개정) 체육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3-4학년군) (8) | 2024.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