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국어교육론] 국어 읽기/쓰기 전략 청킹 읽목미예연K설질 읽기 목적 설정하기 미리보기 예측하기 연상하기 KWL 설문지/질문표 구질추중협메점 구조 파악하기 질문하기 추론하기 중심 생각 찾기 협의하기 메모하기 점검하기 요의지다장토비창 요약하기 의미지도 그리기 다른 장르로 바꾸기 토론하기 비판적으로 읽기 창의적으로 읽기 읽기 전략이었네 브열생그이나면관 브레인스토밍 열거하기 생각그물 만들기 이야기 나누기 면담하기 관련자료 읽기 다발얼개협말얼 다발짓기 얼개짜기 협의하기 말로쓰기 얼른쓰기 훑평돌비 훑어읽기 평가하기 돌려읽기 비평집단 운영하기 자평기록질 자기 평가 전략 자기 기록 전략 자기 질문 전략 쓰기 전략이었다 2021. 4. 7. [체육교육과정] 체육 뒷교 1회독 1. 교수학습 방향 체역함지교학 학특고수수 자주교학환조 전발위통교학 맞교학방선활 정외체활연교학 체육과 역량 함양을 지향하는 교수학습 - 역량 : 신체활동을 체험하고 그 가치를 내면화함으로써 습득되는 지식, 지능, 태도의 종합적인 능력 - 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영역별 역량+내용요소+수행능력+성취기준의 관계를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교수활동 - 체육과 역량 -> 총론의 핵심역량 연계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수준별 수업 - 학습자 특성 : 흥미, 운동기능, 체력, 성차, 학습유형 - 수준별 수업 :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 -> 활동 내용, 활동 과제, 활동 방법을 다양하게 구성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환경 조성 - 관심,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동기유발 - 탐구적 교수학습자료, 학습과제, 효율적 .. 2021. 4. 7. [교육과정] 수학 뒷교 청킹 교목달성전성돕목 교수범목내평일 교과역량 내특나학학내순재 교제내지후학결보우심 설명식교수 교설시 내구체지 학적참유 사촉발 탐구학중 수개원법발구 자정지도지타 프주계수결산발개집 토토협논상 폭논비 비수효표능 협상의참공학 존배 역책 매도활 흥유효다 컴계교소 문탐실검반 협균책상 동협문해 수생사자 문해 수개원법 탐구일 주문변 새만 과검 문만활 관탐 귀유 개추 추정 개원법과 수절논 추과비평반 새의아다풍산 수과 창촉 하여가방해 해비 효정 여연타실연융 수기표그 수표이 정사 수표변 수아학과결 말글그기표그 다사효의 다관존다생이 수아표토론 적자탐수 목 정분평 분문상적활 적교조탐수개원이 복계 개원법 문해 계컴교소공도 수생주사자 관수필유수역가인 관흥호자 수학적참 끈도격동의 학목설 학수결평 자학습태 정공책행극 도용 타배존협태 논근합의.. 2021. 4. 7.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 학습 모형 개요 수학과 교수학습모형으로는 개념학습모형, 원리탐구학습모형, 귀납추론학습모형, 문제해결학습모형이 있다. 모형이 적어서 기분이 좋다 I. 개념학습모형 개념은 수학, 사회, 과학 등 여러 교과에서 모두 강조한다. 수학뿐만 아니라 사회과에도 개념학습모형이 있다. 이를 세분화하면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과학과에는 개념학습모형이라는 명칭은 없지만 순환학습모형의 명칭을 보면 '탐색-개념도입-개념적용'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과학 개념을 구성할 때 순환학습모형을 사용하는 것을 보면, 개념이 여러 교과에서 중요한 지식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스켐프(Skemp)는 개념을 '정적인 예'와 '부적인 예'로 나누어 형성하게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사회과 속성모형의 '사례 검토', 원형모형의 '.. 2021. 2. 3. 사회과 주요 교수학습모형 목차 I. 개념학습모형 II. 탐구학습모형 III. 문제해결학습모형 IV. 의사결정학습모형 V. 논쟁문제학습모형 VI. 협동학습 VII. 기타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시민성 함양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I. 개념학습모형 개념은 시민성의 지식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념학습모형은 개념의 어떤 부분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속성모형, 원형모형, 상황모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i) 속성모형 : 개념이 갖는 결정적 속성을 중심으로 개념을 이해하는 수업 - 문제 제기 - 속성 제시와 정의 : 결정적 속성을 제시하고 개념을 정의한다. (‘속성’ 제개정) - 속성 검토 - 사례 검토 - 가설 .. 2021. 2. 3. 2015개정 교육과정 총론 B세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12. 31.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