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임고 공부 중 온라인암기장 오류가 있다면 부담 없이 알려주세요! 힘써 지원하겠습니다😉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한국 전통 도자기 기법, 도자기 이름 붙이는 순서 1. 한국의 전통도자기 기법가. 상감: 그릇의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백토를 채워넣는 기법나. 귀얄: 백토를 바른 붓으로 그릇에 칠해 무늬를 만드는 기법다. 덤벙: 백토를 탄 물에 그릇을 담갔다 꺼내는 기법라. 철화: 백토 분장 위에 철분이 들어간 안료로 그림을 그려넣는 기법 참고 청화: 흰색 도자기에 파란색 안료로 무늬를 꾸미는 방법; 백자에 사용한 기법마. 박지: 백토로 덮은 뒤 문양을 그리고 그 외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바. 인화: 도장을 표면에 찍고 백토를 메우는 기법사. 조화: 원하는 무늬를 긁어 새기는 기법 //박지 기법과 조화 기법의 차이 숙지하기 참고그외 무늬가 튀어나오도록 새기면 양각, 무늬가 들어가도록 새기면 음각, 구멍을 뚫어 무늬만 남기면 투각이라고 부릅니다. 2. 도자기에 이름 붙이는.. 2024. 10. 22. [초등임용 국어] 고쳐 쓰기 방법, 쓰기 상황 맥락 고쳐쓰기 서브노트 1. 인지주의 작문이론 관점에서 고쳐쓰기 가. 회귀성이 높은 필자일수록 점검/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함; 회귀성이 높을수록 고쳐쓰기에 적극적 2021중등 나. 능숙한 필자는 고쳐쓰기 단계에 시간 투자 多; 초고쓰기 단계에서는 형식적 완결성이 느슨하고, 고쳐쓰기 단계에서 형식적 완결성을 보완함 2011중등 참고대신 능숙한 필자는 초고를 쓸 때 주제에 벗어난 내용이 적게 작성함; 주제와 통일성을 이루어야 함 다. 상위 인지를 강조하여 프로토콜 분석과 잘 어울림 2. 고쳐쓰기 수준: 글 → 문단 → 문장 및 낱말 수준 (큰 범위에서 작은 범위로) 2021초등 3. 고쳐쓰기 방법★: 첨가, 삭제, 대체, 이동, 재배열 //첨삭대이재 가. 첨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ø → a) 나. 삭제: 특정한.. 2023. 8. 13. 반의 관계 의미, 반의어 종류(등급 반의어, 상보 반의어, 방향 반의어) ■ 관련 1. 교과: 국어 2. 관련 글 관련 글이 없습니다. ■ 임용고사 기출사항 반의 관계 - 2014중등, 2021초등 반의어의 종류 - 2019중등, 2022초등 ■ 반의 관계 1. 반의어: 의미가 반대되는 관계에 놓인 단어를 반의어라고 합니다. 2. 의미 자질 분석법을 수행했을 때 하나의 의미 성분에서만 반대인 관계가 반의 관계입니다. 둘 이상의 의미 성분이 반대라면 반의 관계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예) 장끼 - [+꿩] [+새] [+수컷] 예) 까투리 - [+꿩] [+새] [-수컷] 3. 어떤 단어가 주변 의미를 가진다면 하나의 단어에 여러 반의 관계(일대다)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예) 벗다 [-착용] [+머리] 《------》쓰다 [+착용] [+머리] 예) 벗다 [-착용] [+발] 《---.. 2023. 7. 25. 여러 지역의 국악 문화재 1) 제주 칠머리당 영등 굿 : 제주도의 세시풍속, 주술적 성격 참고) 영등 - 무속신앙 중 바람신 2) 강강술래 : 전남 해남;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아리랑, 종묘제례악) 3) 탈춤 : 탈을 쓰고 추는 춤 [1] 봉산탈춤 : 황해도 봉산 [2] 별신굿 : 하회 별신굿 탈놀이 ; 경상북도 안동 [3] 북청 사자놀음 : 함경도 북청 [4] 별산대놀이 : 양주 별산대놀이 2021. 6. 18. [음악 각론] 국악 12율명 [정리] 황대태협고중유임이남무응 1. 공식 이름 황 = 황종 대 = 대려 태 = 태주 협 = 협종 고 = 고선 중 = 중려 유 = 유빈 임 = 임종 이 = 이칙 남 = 남려 무 = 무역 응 = 응종 2. 청킹 : 황대태협고중유임이남무응 황제가 태엽을 고가의 중유로 사려고 했으나 이미 남꺼라 무응답 3. C(다) = 남려 4. 종이 붙는 음 : 황종/협종/임종/응종 Eb - Gb - Bb - D : 황종-협종-임종-응종 (EbmM7) 5. 려가 붙는 음 : 대려/중려/남려 E/G#/C : 대려-중려-남려 C/E/G# : 남려 - 대려 - 중려 (Caug) 6. 단소 : 중(Ab)/임(Bb)/무(Db)/황(Eb)/태(F) 7. 소금 : 임 남 무 황 태 고 중 2021. 4.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