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안내] 예비 초등학교 선생님들을 위한 온라인암기장입니다. 교육과정 빈칸을 터치하거나 마우스를 올리면 답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같이 공부해보기
2015 미술과 교육과정
>> 원본 출처: ncic.re.kr
● 미술 뒷교 청킹 자료를 보시려면 이 글을 참고하세요.
교수/학습방향
● 미술 교과 역량인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반영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2015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역량 5가지
● 학습자 체험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활 또는 타 교과나 타 분야 등과 연계/융합하 여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한다.
● 학습자, 학교의 여건, 수업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한다.
●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학습자의 성취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
● 학습 내용은 체험, 표현, 감상의 각 영역별 특성을 살려 학습 목표에 적합하게 선정하되 영역 간 의 유기적인 관련성 및 연계성을 고려한다. 체표감: 3가지 영역
● 학습 활동 및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할 때에는 환경과 안전 문제를 고려한다.
● 미술 교과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전략을 활용한다.
- 미적 감수성을 기르기 위해 실제적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감각을 자극하거나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관찰 학습, 조사 학습, 체험 학습, 반응 중심 학습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시각적 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삶 속에서 시각 이미지의 다양한 의미를 탐색하고 적용하며 공유할 수 있는 체험 학습, 탐구 학습, 조사 학습, 토의/토론 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창의/융합 능력을 기르기 위해 미술과 다양한 분야를 연계하여 사고를 확장시키고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탐구 학습, 주제 학습, 프로젝트 학습, 창의적 문제 해결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미술 문화 이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로 다양한 미술 문화의 가치를 존중할 수 있는 비교 감상 학습, 토의/토론 학습, 귀납적 사고법, 반응 중심 학습법, 극화, 현장 견학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자신의 학습 과정을 성찰하고 계발,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 협력 학습, 탐구 학습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발문과 개방적 질문을 적극 활용한다.
● 정보 통신 기술과 사진, 영상,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인다.
●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등을 한 학기에 1회 이상 관람하도록 한다.
●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지역의 미술 자료와 문화 공간, 시설 등을 적극적으 로 활용한다.
●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학습 활동에 적합한 시설 및 재료와 용구를 구비하여 활용한다.
- 미술실은 기본적인 채광과 조명을 확보하고, 교재/교구와 함께 전기 가마, 물레, 프레스기, 개수대, 학생 작품과 수업 재료 및 용구를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하도록 한다.
- 정보 탐색 및 감상 학습을 위한 시청각 자료와 설비, 기기 등 멀티미디어 환경을 갖추도록 한다.
● 미술실과 주변 복도, 빈 교실 등을 작품 전시 및 감상 공간으로 활용한다.
● 학습 내용과 방법, 수업의 시기 등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학교와 지역 사회의 특수성, 행사, 계절과 날씨, 학급 학생 수, 시설 및 용구의 준비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조정/운영한다.
평가 방향
● 미술 교과 역량에 기반한 과정 중심, 수행 중심의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한다.
● 평가 목표와 내용은 미술 교과 역량,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근거로 설정하되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고려한다.
● 평가 내용이 특정한 영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영역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한다.
● 학습자의 태도, 학습 과정, 학습 결과가 고루 평가되며,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요소가 균형 있게 평가되도록 계획하고 실행한다.
● 평가 기준을 학습자에게 미리 제시하여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인다.
● 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서술형 및 논술형 검사법, 관찰법, 발표 및 토론법,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보고서법, 연구보고서법, 감상문, 포트폴리오법 등의 평가 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한다.
● 개별 평가와 모둠 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하되, 모둠 평가 시 개인의 역할과 비중을 고려하여 평가 기준과 방법 등을 선정한다. 모둠 평가 시 주의할 점?
● 교사의 학생 평가 외에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능력이나 학습 단계를 점검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관련 역량: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한다.
- 평가 결과를 누가 기록하여 학습자 개인별 성장 수준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한다.
- 평가 결과는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판단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며 내용을 선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 평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진로 지도를 하는 데 활용한다.
이상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마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좋은 수업을 위한 생각상자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2015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과 교육과정 빈칸연습 ① : 성격 | 2015 개정 교육과정 (0) | 2023.05.03 |
---|---|
미술과 교육과정 복습 퀴즈 | 초등임용 대비(2015 개정 교육과정) (3) | 2023.05.03 |
[초등임용] 미술과 성취기준 빈칸연습 암기장 | 2015 개정 교육과정 (0) | 2023.05.02 |
미술 내체표 빈칸연습 |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온라인연습장 (1) | 2023.05.01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온라인암기판 > 성격, 교과역량, 목표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