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2022개정 과학과 성취기준 빈칸연습 #2 - 초등학교 5~6학년군 (6) 날씨와 우리 생활[6과06-01] 기상 요소를 조사하고, 날씨가 우리 생활에 주는 영향을 인식할 수 있다.해설기상 요소는 기온, 바람, 습도, 구름의 양, 강수량을 중심으로 다루고, 기상 자료에서 규칙성을 파악하도록 함[6과06-02] 이슬, 안개, 구름을 관찰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해설구름에서 비와 눈이 내리는 과정을 다루지 않고 현상을 중심으로 다루며, 단열 팽창과 관련된 구름의 생성 과정은 다루지 않음[6과06-03] 고기압과 저기압의 분포에 따른 날씨의 특징을 기상 요소로 표현할 수 있다.해설고기압과 저기압의 날씨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부는 바람의 방향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현상 중심으로 다룸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3∼4학년군 '지구와 바다'.. 2025. 1. 2. 과학과 교육과정 성격 및 목표 빈칸연습 - 2022개정 교육과정 참고 자료는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였습니다. (출처: ncic.re.kr)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 성격 및 목표가. 성격'과학'은 '과학적 소양을 갖추고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사람'을 육성하기 위한 교과;//과학과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인간상?'과학' 교과에서는 모든 학생이 ①과학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②과학 탐구 능력과 태도를 길러, ③자연과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④민주 시민으로서 개인과 사회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고 참여/실천하는 역량 함양에 중점 '과학'은 ①초등학교 1∼2학년에서 학습한 내용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역량을 함양하고, ②고등학교 과학 교과목 학습에 필요한 과학 기초 학력을 보장하기 위한 교과; '과학'은 초등학교 1.. 2024. 11. 23.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 온라인암기장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내용체계 파트가 빠져있었는데 2025 기출이 되었네요. 늦었지만 지금 추가해둡니다.중요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영역 5가지?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과학과 사회 2025초등1. 운동과 에너지핵심 아이디어자연과 일상생활 속의 여러 가지 힘은 물체의 속력과 운동 방향을 변화시키고, 물체의 운동은 힘과 에너지를 통해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한 일상생활의 토대가 된다. 전하와 전류는 다양한 전기와 자기 현상을 일으키고, 전기와 자기에 대한 성질은 전구, 전동기 등 여러 가지 전기 기구의 작동 원리로 유용하게 활용된다. 열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일상생활에서는 단열 등 다양한 분야에 물질의 열적 성질이나 열의 이동 방식이 이용된.. 2024. 11. 21.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3 (11) 땅의 변화[4과11-01] 흐르는 물의 작용과 강 주변 지형의 특징을 관련지을 수 있다.해설강 주변 지형은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 운반, 퇴적 작용을 중심으로 다룬다.[4과11-02] 화산의 의미와 화산 활동으로 나오는 물질을 알고, 화산 활동을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해설화산 활동과 화산 분출물을 중심으로 학습한다.[4과11-03] 화성암을 관찰하고 분류할 수 있다.해설화성암은 현무암과 화강암만 다룬다.[4과11-04] 화산 활동과 지진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처 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해설화산 활동의 피해와 이로운 점을 함께 다루며, 지진 발생 원인은 다루지 않는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5∼6학년군 ‘지층과 화석’, 중학교 1∼3학년군 ‘지권의 변화’.. 2024. 10. 17.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2 (6) 지구와 바다[4과06-01] 지구가 대기로 둘러싸여 있음을 알고, 지구 표면을 구성하는 육지와 바다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4과06-02] 바닷물의 특징을 육지의 물과 비교하고,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지형을 조사할 수 있다.해설바닷물의 침식, 운반, 퇴적 작용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4과06-03]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알고, 갯벌의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설득/홍보할 수 있다.해설밀물과 썰물은 바닷물의 높이 변화를 다루는 수준이며, 조석 용어와 원인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5∼6학년군 ‘날씨와 우리 생활’, 중학교 1∼3학년군 ‘날씨와 기후변화’, ‘수권과 해수의 순환’과 연계된다.• 여행에서 촬영한 사진 자료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 2024. 10. 16.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1 들어가며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니 영역이 참 많네요... 세 파트로 나눠 3~4학년군 성취기준을 올려볼 예정입니다.추가하는대로 #초등임용 과학 페이지에 반영해놓겠습니다. (1) 힘과 우리 생활[4과01-01] 일상생활에서 힘과 관련된 현상에 흥미를 갖고, 물체를 밀거나 당길 때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해설무거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와 가벼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 드는 힘의 크기를 느끼는 데 중점을 둔다.[4과01-02] 수평잡기 활동을 통해 물체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4과01-03] 무게를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저울이 필요함을 알고, 저울을 사용해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해설무게와 질량을 구분하지 않으며 무게를 비교하는 단위로 g, ㎏(2가지)을 사용한다.[4과01-04].. 2024. 10.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