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 같이 보면 좋은 글 - [1-2학년군/수와 연산] 성취기준 - [3-4학년군/수와 연산] 성취기준 | 목차 -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 수와 연산 5-6학년군 학습요소,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분석 | 수와 연산 5~6학년군 성취기준 분석 [6수01-0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혼합계산에서 계산하는 순서를 알고, 혼합계산을 할 수 있다. ✔ 자연수의 혼합계산은 사칙계산이 정의된 후 배우는 것으로, 계산 원리가 아닌 계산 순서를 성취기준에 담음 [6수01-02] 약수, 공약수, 최대공약수의 의미를 알고 구할 수 있다. [6수01-03] 배수, 공배수, 최소공배수의 의미를 알고 구할 수 있다. ✔ 약수와 배수는 약분과 통분으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 [6수01-04] 약수와 배수의 .. 2020. 7. 14. 수와 연산 1~2학년군 성취기준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개정 교육과정 : (1) 성격 ※ 2015 개정 교육과정 : (2) 목표 ※ 2015 개정 교육과정 : (3) 내용 체계 - 수와 연산 | 목차 - 수와 연산 1~2학년군 성취기준 - 학습요소 분석 -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분석 | 수와 연산 1~2학년군 성취기준 [2수01-01] 0과 100까지의 수 개념을 이해하고, 수를 세고 읽고 쓸 수 있다. {주석} 자연수 1부터 100까지 배우고, 0이 가지는 의미를 함께 이해한다. {주석} 이해하기 : 추론 > 수학적 사실 분석 ; 수 세기 : 추론 > 수학적 사실 분석 {주석} 수 읽기, 수 쓰기 : 의사소통 > 수학적 표현의 이해 [2수01-02] 일, 십, 백, 천의 자릿값과 위치.. 2020. 7. 6.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3) : 수와 연산 내용 체계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개정 교육과정 - (1) 성격 ※ 2015 개정 교육과정 - (2) 목표 | 목차 - 수와 연산의 내용(핵심개념+일반화된 지식+학년군별 내용 요소) - 수와 연산의 기능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와 연산의 내용 (1) 수와 연산의 핵심 개념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을 '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자료와 가능성' 다섯 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있다. 수와 연산은 첫 번째로 등장하는 수학의 영역으로 수와 연산을 공부한다. 교육과정에서는 수를 '수의 체계'로, 연산을 '수의 연산'의 형태로 핵심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정리] 수와 연산의 핵심 개념 = 수의 체계(system) + 수의 연산(calculati.. 2020. 7. 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2) : 목표 | 같이 보면 좋은 글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 수학과 핵심역량 | 목차 -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 수학과 교육과정 목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며 수학적으로 추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길러, 생활 주변과 사회 및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를 합리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며, 수학 학습자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실천 능력을 기른다.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 이해 수학적 지식은 생활 속 예나 경험을 일반화한 것이다. 개념, 원리, 법칙은 수학적으로 일반화한 수학적 지식의 유형이다.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한다는 것은 곧 수학적 지식을 이해함을 의미한.. 2020. 7. 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1) : 성격 | 같이 보면 좋은 글 -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배경, 수학 교과 역량 | 목차 I. 수학과의 의미 II. 수학과의 의의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영역 IV. 초등수학의 중요성 V. 수학에서 배워야 할 것 VI. 수학 교육의 기대효과 (참고문헌 : 수학과 교육과정(2015), 교육부) | 수학과의 성격 I. 수학과의 의미 수학과는 다음 6가지를 배우는(기르는) 교과이다. (1)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 (2) 수학의 기능 습득 (3) 주변의 여러 현상을 관찰하고 해석 // 추론의 '관찰과 추측' 정보처리의 '정보의 해석 및 활용'과 관련 (4) 논리적으로 사고 // 추론의 '논리적 절차 수행'과 관련 (5) 합리적 문제 해결 능력 // 문제 해결 역량 (6) 태도 수학과는 (1)수학의 개념, .. 2020. 7. 3. 수학 교과 역량 (6) : 태도 및 실천 역량과 하위 요소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 교과 역량 (1) : 문제 해결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2) : 추론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3) : 창의융합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4) : 의사소통 역량과 하위 요소 - 수학 교과 역량 (5) : 정보 처리 역량과 하위 요소 | 목차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하위 요소 (참고문헌 : 교사용 지도서 (2019)) | 태도 및 실천 역량의 의미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실천하는 능력 태도 및 실천 역량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 수학적 가치를 인식하고 (2) 자주적 수학 학습 태도와 (3) 민주 시민 의식을 갖추어 (4) 실천하는 .. 2020. 7.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