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개념 학습 모형 > 개념형성모형
①범례 제시 및 범례 분류하기 → ②공통의 성질 추상화하기 → 개념 정의하기 → 개념 익히기
- ①: 범례를 제시할 때에는 정례와 비례 다양하게 제시
참고 교사가 범례를 제시할 때 다양한 정례와 비례를 제공할 때, 가장 관련있는 브루너의 수학학습원리? 대조와 다양화의 원리
- ②: 분류한 정례들의 공통적인 성질을 추상화하며 개념을 정의함 2009초등
개념 학습 모형 > 속성 모형
도입 → 개념의 정의 → 정례와 비례 구분하기 → 개념 익히기 → 정리 및 평가
* 개념학습모형으로 속성 모형을 온라인암기장에 다루어달라는 의견이 있어 추가합니다.
원리 탐구 학습 모형
새로운 문제 상황 제시 → 수학적 원리의 필요성 인식 → ①수학적 원리가 내재된 조작 활동 → 수학적 원리의 형식화 → 수학적 원리 익히기 및 적용하기
- 충분한 자료와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수학적 원리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탐구 과정 강조하는 모형
- 학습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태도가 중요
- 받아올림의 계산 원리를 지도하기 위해 수 모형을 이용해 일 모형 10개와 십 모형 1개를 교환하는 활동을 한 경우, 해당하는 단계는? 수학적 원리가 내재된 조작 활동
귀납 추론 학습 모형
사례 수집 및 관찰/실험 → ①추측하기 → ②추측의 검증 → ③일반화 및 정당화
- 수학적 개념을 형성하는 수업이나 귀납적 사고를 지도할 때 적합
참고 귀납적 사고: 여러 구체적 사례에서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발견하는 사고
- 주어진 조건 이상으로 추론하지 않도록 지도(항상 옳지 않기 때문)
- ①: 공통적인 규칙이나 성질을 식이나 용어로 표현
- ②: 학습자가 추측한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반례를 찾아볼 수 있음
- ③: 연역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음(초등 수준 생략 가능)
참고 귀납과 같은 개연적 추론은 연역적으로 정당화되어야 함 //귀납과 연역은 상호보완적
참고 2015 수학과 교육과정 뒷교
관찰과 탐구 상황에서 귀납, 유추 등의 개연적 추론을 사용하여 학생 스스로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고 적절한 근거에 기초하여 이를 정당화할 수 있게 한다. 2016중등
문제 해결 학습 모형
①문제의 이해 → ②해결 계획의 수립 → 해결 계획의 실행 → ③반성
- 교사는 직접적인 답이나 힌트 제공 X
- ①: 문제에서 구하려는 것/주어진 것/조건 확인하기
- ②: 이전에 푼 적 있는 문제인지 확인하기, 문제 해결 전략 세우기, 문제 해결 결과 예상하기
참고 이전에 비슷한 문제를 푼 적이 있는지 검토했다면 해결 계획의 수립 단계에서 어떤 사고를 적용한 것인가? 2007초등 유추적 사고
- ③: 문제 해결 과정 검토하기, 다른 문제 해결 방법이나 더 나은 문제 해결 방법 찾기, 문제 만들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교과교육론&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탐구 과정 기능, 2015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능 (1) | 2024.03.21 |
---|---|
[국어과 평가방법] 초등임용 대비 읽기,쓰기,듣기 말하기 평가 방법 (1) | 2023.11.28 |
[도덕 모형] 도덕과 교수학습모형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빈칸연습 (0) | 2023.08.26 |
[초등임용/음악교육론] 고든의 기능학습위계 (0) | 2023.08.22 |
체육 모형, 체육 교육과정 모형 - 초등임용 온라인암기장 (0) | 2023.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