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우측 하단의 [빈칸 뚫기] 버튼으로 빈칸을 뚫어 암기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 평가 방법 중 회색으로 나타낸 부분은 영역 공통으로 제시된 평가방법입니다.
업데이트 [빈칸 뚫기]버튼을 추가하였습니다.
듣기/말하기 영역 평가 방법
총체적 평가
분석적 평가
일화 기록법
녹화 기록법
관찰법
자기 평가
동료 평가
포트폴리오법
학생의 발표의 전체적인 인상 평가 | |
하위 요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평가 | |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학습자의 대화를 관찰, 의미있는 발화/태도를 기록 | |
녹음기나 녹화 장치 등을 이용해 기록한 내용을 분석 | |
교사가 학생의 발표나 대화를 관찰한 후 평가 | |
학습자가 자신의 듣기/말하기 수행을 평가 | |
동료 학습자가 학습자의 수행을 평가 | |
학습자의 수행 과정이 담긴 다양한 자료를 수집해 평가 |
읽기 영역 평가 방법
중요도 평정
빈칸 메우기 검사
오독 분석법
프로토콜 분석
선택형 검사
자유 회상법
관찰법
포트폴리오법
1) 글을 단위로 나누어 단위마다 중요성을 판단 2) 목적이나 주제를 판단 근거로 삼음 |
|
1) 글 가운데 빈칸을 만들고 알맞은 낱말/문장을 채움 2) 앞뒤 문맥을 파악하며 읽기,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읽기 평가 |
|
1) 학습자가 잘못 읽은 부분을 분석 2) 오류(추가, 삭제, 대치, 자기수정, 무반응)를 중심으로 글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파악 |
|
1)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생각들을 분석 2) 읽기 전략 및 초인지 파악 용이 |
|
선택형 질문을 통해 독해 능력 평가 | |
학습자가 글을 읽고 자유롭게 떠올린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 |
교사가 학생을 관찰하며 읽기 능력을 평가 | |
학습자의 수행과정이 담긴 자료집을 통해 평가 |
쓰기 영역 평가 방법
총체적 평가
분석적 평가
오필 분석법
프로토콜 분석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주요 특질 평가
포트폴리오법
1) 완성된 글의 가치 반영하여 평가 2) 학생에게 구체적인 피드백 어려움 |
|
1) 학생에게 내용,조직,표현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 가능 2) 객관성을 확보하지만 글 전체가 주는 인상 평가 불가 |
|
학생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잘못 쓴 부분을 고치는 부분 평가 | |
학습자가 글쓰기 과정에서 떠오른 생각들을 분석 | |
학습자가 자신의 글쓰기 수행을 평가 | |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가 쓰기 수행을 서로 평가 | |
1) 과제에서 제시한 방향을 중심으로 평가 2) 타 요소가 미흡하더라도 핵심 요소가 충실하면 높은 성취도 |
|
학습자가 작성한 여러 글들을 모은 자료집을 바탕으로 평가 |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교과교육론&모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모형, 과학과 교수학습모형 (0) | 2024.03.23 |
---|---|
탐구 과정 기능, 2015 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기능 (1) | 2024.03.21 |
[초등임용] 수학 교수학습모형 온라인암기장 빈칸연습 (0) | 2023.08.29 |
[도덕 모형] 도덕과 교수학습모형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빈칸연습 (0) | 2023.08.26 |
[초등임용/음악교육론] 고든의 기능학습위계 (0) | 2023.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