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1) 교수/학습의 방향
(가)-1 즐거운 생활과는 영역 및 핵심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바른 생활과와 슬기로운 생활과를 통합하여 교수/학습할 수 있다. O
(가)-2 학생의 관심사를 반영한 주제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합할 수 있다.
(나)-1 즐거운 생활과에서 놀이란?
① 학생이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놀이
② 학생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스스로 몰입하여 즐길 수 있는 모든 경험
(나)-2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은 학생이 놀이 자체를 즐기고 놀이 과정에서 다양한 정서와 감정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다.
(다)-1 2022개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따르면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은 무엇을 대상으로 하는가? 다양한 놀이를 즐기는 경험
(다)-2 다음 문장을 2022 개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바르게 수정하시오.
→ 예시 답안: 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이미 접한 놀이나 새롭게 고안한 놀이와 함께 학생의 희망에 따라 교사가 적절한 놀이를 제안하거나 안내해 줄 수도 있다.
(다)-3 특히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마음껏 움직일 수 있는 실내외 공간에서 신체 활동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라) 즐거운 생활에서 다루는 과정/기능
준비하기 | 도구 준비, 자료 준비하기 |
계획하기 | 절차 정하기, 순서 정하기, 방법 정하기 |
조사하기 | 자료 찾기, 매체 찾기 |
관련짓기 | 그림으로 관련짓기 |
나타내기 | 몸, 소리, 색, 물질, 도구, 매체를 사용하여 표현하기 |
평가하기 | 감상하기, 체크하기 |
(마)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 경험과 밀접한 관련 있는 핵심역량 3가지? ①협력적 소통 역량 ②공동체 역량 ③심미적 감성 역량
(바)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은 놀이를 중심으로 예술 활동을 통합하여 다룬다.
(사) 여럿이 함께하는 놀이와 협력하여 표현할 수 있는 활동을 안내함으로써 기초적인 민주시민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O
(아)-1 즐거운 생활의 교수/학습 전 과정에 학생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까닭은? 즐거운 생활의 활동은 학생 개인의 관심과 흥미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아)-2 학생이 생활 속에서 꾸준히 신체 활동을 즐기며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출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안내
(자)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의 연계
① 누리과정: 신체운동/건강, 예술경험 등 내용 영역
② 초등학교 3학년 이후: 체육과, 음악과, 미술과 교육과정 등
(차) 즐거운 생활과의 놀이나 활동과 안전 교육을 연계해서 체험이나 실천 중심으로 실질적인 안전 교육을 실시한다.
(카) 언어 소양, 디지털 소양과 더불어 안전⋅건강 교육, 인성 교육, 진로 교육, 민주시민 교육, 인권 교육, 다문화 교육, 통일 교육,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 등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하여 교수/학습을 계획할 수 있다. X
(2) 교수/학습 방법
(가) 바른 생활/슬기로운 생활과 공통
(나)-1 즐거운 생활과의 교수⋅학습은 주제와 관련하여 즐길 수 있는 놀이 활동을 구상하는 일 //바른 생활과: 실천활동, 슬기로운 생활과: 수행할 활동
(나)-2 다양한 소리와 관련된 청각 놀이, 이미지와 관련된 시각 놀이,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 놀이 활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지침은 즐생,슬생과 공통
(다)-1 차시는 ①순서를 미리 정한 후 활동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②또한 미리 정하지 않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즉흥적으로 순서를 정하며 할 수 있다.
(다)-2 차시 조직에서는 필수로 해야 할 차시와 선택해서 할 차시를 정할 수 있다. O
(다)-3 차시의 교수/학습 절차
① '도입-전개-정리' 단계
② 주제 만나기 - 주제 학습하기 - 주제 학습 마무리하기
③ 준비하기 - 탐색하기 - 놀이하기 - 느낌 나누기
④ 탐색하기 - 놀이하기 - 생활화하기
(라)-1 즐거운 생활과는 참여 구성원, 유형, 도구 등을 달리하여 다양한 교수⋅학습을 전개할 수 있다.
(라)-2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대면 학습과 비대면 학습 또는 둘을 연계한 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비대면 활동 상황에서도 다양한 도구와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함께 어울리고 서로 소통하며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도록 한다.
(라)-3 교사는 학생과 협의하여 학생이 원하는 활동에 몰입해서 꾸준히 즐길 수 있도록 (A)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A)에 해당하는 3가지? 차별화, 개별화, 개인화
(라)-4 교실에서 정한 통합 주제에 맞는 신체 놀이, 감각 놀이, 리듬 놀이, 표현 놀이 등 다양한 놀이 유형을 적용한다.
(라)-5 신체 놀이와 관련해서 학생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기본 움직임에 중점을 두고 다른 유형의 놀이에서도 움직임과 다양한 표현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마) 바른 생활/슬기로운 생활과 공통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초등) 2022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개정 교육과정) 국어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1 - 1~2학년군 (0) | 2023.10.22 |
---|---|
[2022개정] 초등임용 즐생 평가의 방향, 평가 방법 워드마스킹 암기장 (1) | 2023.10.14 |
즐거운생활 성취기준 빈칸 / 2022개정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대비 (0) | 2023.10.11 |
[국어 내체표] 2022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빈칸연습, 온라인암기장 (1) | 2023.10.06 |
즐거운생활 교육과정 목표, 내용체계 / 초등임용 대비 2022개정 교육과정 빈칸연습 (7) | 2023.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