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문제유형이란?
• 직업문제: 직업상담을 할 때 내담자가 겪는 문제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할 수 있어 진단을 통해 문제를 밝히고 해결해야 함
• 직업문제유형 관련 학자
1. Williamson(윌리엄슨)의 변별진단 문제유형
키워드 변별진단 결과 4가지, Williamson의 직업상담 문제유형 분류, 특성-요인 직업상담
가. 진로무선택: ①고르고 싶은 직종이 있지만 선택하지 못하는 경우 ②내담자가 직접 직업을 선택한 적이 없는 경우
나. 모순: 흥미와 적성 불일치
다. 어리석은 선택: ①흥미와 목표 사이 관계 X ②적성과 목표 사이 관계 X ③지나치게 안정적인 직업 추구 or 지나치게 위험 부담이 높은 직업 추구 ④성격과 어울리지 않는 직업 추구
라. 확신 부족: 직업 선택에 확신을 가지지 못함; 자신감 부족
2. Crites(크라이티스)의 직업선택 문제분류
키워드 Crites의 직업분류, Crites의 직업상담 문제유형, 포괄적 직업상담
가. Crites가 제시한 3가지 변인: 적응성, 결정성, 현실성
나. Crites의 직업선택 문제 분류
적응성 | • 적응형: 흥미와 적성 일치 |
• 부적응형: 흥미 또는 적성과 일치하는 분야가 X | |
결정성 | • 다재다능형: 흥미 관련 분야와 적성 관련 분야 사이에서 결정하지 못한 경우 |
• 우유부단형: 성격적 특성으로 결정하지 못한 경우 | |
현실성 | • 비현실형: 흥미가 있는 분야 but 적성 부족 |
• 불충족형: 흥미가 있는 분야 but 직업의 요구 적성이 낮음 | |
• 강압형: 적성에 맞는 분야 but 흥미가 없는 경우 |
3. Bordin(보르딘)의 직업문제의 심리적 원인
키워드 Bordin의 진단범주, 심리적인 원인,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가. 자아 갈등: 자아개념 vs 다른 심리
나. 정보의 부족: 내담자가 소유하고 있는 진로 관련 정보 부족
다. 의존성: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기대는 경우
라. 선택의 불안: 내담자와 사회적(타인의) 요구가 충돌할 때
마. 확신의 결여: 진로 선택을 했으나 확인받고자 상담하는 경우 //문제 없음
연습문제
1. Williamson의 직업문제유형 중 '모순'을 설명하시오.
답 : 흥미와 적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2. Crites의 직업선택 문제 분류 중 다음 유형을 설명하시오.
(1) 강압형 (2) 우유부단형 (3) 부적응형
답
(1) 적성에 맞는 분야이지만 내담자가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
(2) 흥미, 적성 떄문이 아닌 성격으로 인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3) 흥미와 일치하는 분야가 없거나 적성에 맞는 분야가 없는 경우
3. Bordin이 분석한 직업문제의 진단범주 중, '선택의 불안'이 나타나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답 : 자신과 사회적 요구가 충돌할 때 발생한다.
첨부파일
'기타 공부 > 직업상담사2급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사 2급 필기] 2월 11일 오답노트 (0) | 2024.02.11 |
---|---|
[직업상담사 2급 필기] 1월 31일 오답노트 (0) | 2024.01.31 |
[직업상담사2급 필기] 1월 23일 오답노트 (0) | 2024.01.23 |
[직업상담사 2급 필기] 오답노트 #1 (1) | 2024.01.19 |
[직업상담사 2급 필기] 1월 7일 오답노트 (1) | 2024.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