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 뒷교 빈칸 (2015개정) - 교수 학습 방향, 평가 방향

by 온암 2024. 4. 4.

온암의 생각상자

참고 자료는 ncic.re.kr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였습니다.

참고 뒷교란, 문서상 교수/학습 방향과 평가 방향을 묶은 것을 말합니다.

* 학습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글을 남겨주세요.

 

 

가. 교수·학습 방향

 

음악과의 교수·학습에서는 모든 영역의 학습 활동에서 다양한 악곡을 활용하도록 하며, 이를 위한 최적의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a), (b), (c), (d)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a): 음악적 능력과 수준

(b): 흥미도

(c): 현실성

(d): 지역성

 

(1) 교수·학습 계획

 

(가) 교수·학습 계획은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에 근거하고, 학생의 (a)와 (b), (c) 및 (d) 등을 고려하여 수립한다.


(a): 발달 단계
(b): 능력 수준
(c): 흥미도
(d): 지역성

 

 

 

(나)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a)을 고려하여 학습 내용과 수준에 알맞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 학년의 특성

 

 

(다) 교사는 지역, 학교 및 학생의 특성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을 융통성 있게 (a)할 수 있다.


(a): 재구성

 

 

(라) 음악 표현 능력과 음악에 관한 (a)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b)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또한 학교급별/학년군별/영역별 연계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학생이 음악 학습 전반에 대해 (c)이고 (d)인 이해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계획한다.


(a): 포괄적 이해력
(b): 영역별 연계성
(c): 포괄적
(d): 종합적

 

 

(마) (a)의 성격과 특징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한다.

 

(a): 수업 주제

 

 

(바) (a)와 (b)를 포함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a): 전통적인 매체 (b): 디지털 매체

 

 

(사) (a)와 (b)에 따라 적절한 악기를 선택하여 지도한다.

 

(a): 학생의 요구

(b): 학교의 실정

 

 

(아) 음악 교과와 (a)를 고려하여 지도한다.

 

(a): 다른 교과와의 연계

 

 

 

(2) 학교급별 지도

 

초등학교 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학습 내용 및 활동을 선택하고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a)과 (b)을 신장시키도록 한다. 또한 즐겁고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마음 자세를 기르도록 한다.


(a): 기초적인 표현력
(b): 이해력

 

 

 

 

(3) 교수·학습 시설 및 기자재

 

교수·학습의 효율화를 위하여 되도록 음악 활동의 각 영역에 적합한 시설과 교구, 교재를 구비하여 활용한다.

 

(가) (a)을 한 (b)과 (c)을 갖추도록 한다.
(나) (d) 악기, (e) 악기, (f) 악기, (g) 악기 등 다양한 악기를 구비하여 활용한다.
(다) (h)를 포함한 다양하고 질 높은 음향 시설을 구비하여 활용한다.

(a): 방음 시설
(b): 음악실
(c): 음악 준비실
(d): 리듬
(e): 가락
(f): 건반
(g): 전자
(h): 멀티미디어 기기

 

 


 

나. 평가 방향

 

음악과의 평가는 교과의 성격과 교수·학습 내용에 따른 (a)하고 (b)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현할 수 있는 평가가 되도록 한다.


(a): 타당
(b): 신뢰성

 

 

 

(1) 평가 계획

 

(가) 평가는 (a)의 (b)와 (c)에 근거하여 계획한다.


(a): 교육과정
(b): 범위
(c): 수준

 

 

(나) 평가의 범위와 수준은 단위별(지역, 학교급, 학교 등)로 (a)과 (b)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a): 학생
(b): 학교

 

 

(다)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a) 또는 (b)에 평가의 내용, 기준 및 방법을 학생에게 예고한다.


(a): 학년 초
(b): 학기 초

 

 

(라)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의 (a)를 평가하되, 학습 과정에서 (b)되는 행동과 태도의 변화 등도 반영한다.


(a): 학업성취도
(b): 관찰

 

 

(마) 각 영역의 성격과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되, 실제로 수업을 통해 다루어진 내용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a)과 (b)이 높은 평가가 되도록 한다.


(a): 타당성
(b): 신뢰성

 

 

 

(바) (a)의 내용, 과제, 매체 등은 학생과 학교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제시하고, 가능한 한 (b)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a): 실기 평가
(b): 선택의 기회

 

(2) 평가 결과 활용

 

평가 결과는 (a)과 (b)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성취기준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별도의 학습 지도 계획 및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a): 교수·학습 계획
(b): 수업 방법 개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