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공부/초등임용 공부했던 자료

4/29 - 국어 과목 집중 오답노트

by 온암 2021. 4. 29.

온암의 생각상자

1. [2국04-02] (소리와 표기가) 다를 수 있음을 알고 낱말을 바르게 읽고 쓴다.

- 이 성취기준은 (소리와 표기가) 일치하는 낱말과 그렇지 않은 낱말이 있음을 알고 (소리와 표기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며 낱말을 바르게 쓰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 관련 내용요소 : 낱소표(낱말의 소리와 표기)

- 관련 핵심개념 : 국어규범과 국어생활(발음과 표기, 어휘 사용, 문장/담화의 사용)

 

2. 내용체계표 > 쓰기 영역

쓰기의 구성요소/과정/전략의 1-2학년군 학습요소? 글자 쓰기, 문장 쓰기

 

3. 3-4학년군 문학 밑평 : 독후 활동으로서 생각과 느낌을 평가할 때에는 작품에 대한 (수렴적인 이해)보다는 (발산적인 감상)능력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4. 내용체계표 > 문학 영역

문학의 태도 3-4학년군 학습요소? 작품을 즐겨 감상하기

관련 성취기준 : [4국05-05] 재미나 감동을 느끼며 작품을 (즐겨 감상하는) 태도를 지닌다.

 

5. [6국03-03]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알맞은 (형식)과 (자료)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글을 쓴다.

 

6. 문제 해결 학습 모형 : 문제 확인하기 -> (문제 해결 방법 찾기) -> 문제 해결하기 -> 일반화하기

 

7. 글씨 쓰기 지도 > ㅏ와 ㅑ는 내리긋는 획을 먼저 쓴 뒤, ㅏ는 (보조선)에 걸치도록, ㅑ는 두 점 사이에 (보조선)이 오도록 점을 찍는다.

 

8. 비고츠키의 언어 발달 모형 > 2단계 : 언어적 사고가 나타난다.

- 초반 : 외적 언어의 사용

- 후반 : (자기중심적) 언어의 사용

 

9. 글을 쓸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과정은? 내용 생성하기

 

10. 내용체계표 > 읽기 영역

읽기의 목적에 따른 유형/맥락/매체의 5~6학년군 학습요소?

- 정보전달, 설득, 친교 및 정서표현

- (사회문화적 화제)

- 글과 매체

 

11. 5-6학년군 문학 밑교) 작품의 이해와 소통에 대해 지도할 때에는 문학적 표현의 의미만이 아니라 거기에서 얻는 느낌이나 생각의 차이도 함께 다룸으로써 작품 해석의 (A)만이 아니라 인간의 (B)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그리고 작품 해석의 (A)과 (B)을 보장한다 하더라도, 해석에는 최소한의 합리적 타당성이 있어야 하므로 지나치게 기이한 해석은 경계하도록 한다.

(A) : 개방성

(B) :  다양성

 

관련 내용 요소 : 작품의 이해와 소통

 

12. 1~2학년군 듣기 말하기 밑교) 바른 자세로 말하기를 지도할 때에는 말하기 자세와 관련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바른 자세, 자신있게 말하기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13. [2국04-04] 글자, 낱말, 문장을 (관심)있게 살펴보고 (흥미)를 가진다.

 

14. 1~2학년군 문학 밑교) 재미있는 발상과 표현을 통해 (창의력)을 신장하도록 하고, 경험을 표현하는 활동에서는 인성 함양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15. 내용 체계표 > 문법 영역

국어 구조의 탐구와 활용과 관계있는 3~4학년군의 내용 요소는?

- 낱말의 의미 관계

- 문장의 기본 구조

 

16. 뒷교 > 평가 방향 

3) 학습자의 (국어 능력의 발달) 정도를 판단하고 (교육활동)을 개선하는 데 '국어' 평가 결과를 활용한다.

 

17. 발음 중심 접근 방법은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매우 규칙적인 한글 지도에 알맞다.

 

18. [6국05-01] 문학은 가치있는 내용을 언어로 표현하여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활동임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한다.

- 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은 가치 있는 내용 중에서도, 언어 표현의 (참신성)과 (함축성)에서도 생성된다는 점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19. [3~4학년군/문학 영역] 수용에 초점이 있는 학습 요소라 하더라도 (발산적 사고)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창의적 재구성이나 창작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