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해석 연습장 #1 - 계선편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해석 착한 일을 행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복으로써 보답하고 착하지 아니한 일을 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재앙으로 갚는다. 勿以善小而不爲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해석 선이 작다 하더라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악이 작다 하더라도 그것을 행해서는 안 된다. 一日不念善이면 諸惡이皆自起니라해석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모든 악한 일이 저절로 일어난다.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해석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을 본 것 같이 하며 악한 일을 보거든 귀가 먼 것 같이 하라. 又曰 善事란 須貪하고 惡事란 莫樂하라해석 또 말하기를 착한 일은 모름지기 탐하고 악한 일은 즐기지 말라.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요 一日行惡이라도 惡者猶餘니라해석 평생 선을 행하더.. 2024. 9. 16.
명심보감 빈칸 한자 맞히기 랜덤 명심보감 구절 중 10문제가 무작위로 추출됩니다. 4개 선택지 중 빈칸에 들어갈 한자를 골라주세요. 2024. 8. 3.
명심보감 원문 전문 들어가며 명심보감은 선현들이 남긴 말이나 본받을만한 이야기들을 담은 서적으로, 단순히 유교적인 내용을 넘어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덕목을 살펴볼 수 있는 책입니다. 때문에 한문 교육에서 자주 다루는 소재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명심보감 전문 및 해석을 공부할 수 있도록 명심보감의 목차와 전문을 순서대로 수록하였습니다. 학습을 위한 PDF파일은 밑에 첨부해두었습니다.    명심보감 목차아래 표를 활용하시면 목차별 구문 및 해석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명심보감 전문+해석원문해석子曰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공자가 말하길.. 2024. 7. 1.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5. 근학편 2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하라 日月逝矣 나 歲不我延이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해석 주자가 말하길,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올해에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날과 달은 가니 세월은 나를 위해서 더디게 가지 않는다고 하였다. 아 늙었다! 이것은 누구의 허물인가라고 하였다.참고 愆: 허물 건   少年은 易老하고 學難成하니 一寸光陰이라도 不可輕하라 해석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이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   未覺池塘에 春草夢인대 階前梧葉이 已秋聲이라 해석 아.. 2024. 6. 3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4. 염의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이러니 해석 인관이 장에서 솜을 파는데 서조가 곡식으로 솜을 사가지고 돌아가더니   有鳶攫其綿하야 墮印觀家어늘 해석 솔개가 그 솜을 채가 인관의 집에 떨어뜨렸다.참고  攫: 움킬 확   印觀이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라 故로 還汝하노라 해석 인관이 서조에게 (솜을) 돌려주고 말하길, 솔개가 네 솜을 내 집에 떨어뜨려서 너에게 돌려준다고 하였다.   署調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라 吾何爲受리오 해석 서조가 말하기를, 솔개가 솜을 채가 너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것이다. 내가 어찌 받겠는가 하였다.   印觀.. 2024. 6. 29.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3. 효행편 속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孫順이 家貧하여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할새 有兒每奪母食이라 해석 손순이 집이 가난하여 그의 아내와 더불어 남의 머슴살이를 하여 어머니를 봉양하는데 아이가 있어 늘 어머니께서 잡수시는 것을 뺏었다.참고 與는 ‘~와 더불어’로 해석합니다.  順이 謂妻曰兒奪母食하니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라하고 해석 순이 아내에게 일러 말하길, 아이가 어머니의 드시는 것을 빼앗으니 아이는 또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구하기 어렵다 하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여 欲埋堀地러니 忽有甚寄石鐘이어늘 驚怪試撞之하니 春容容可愛라 해석 곧 아이를 업고 취산 북쪽 .. 2024.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