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임용 2022총론/창체/통합 역량/모형 수학 사회/도덕 실과 국어 영어 음악 미술 체육 과학 #중등임용 2022총론/창체 국어 수학 도덕 기술가정/정보 미술 체육 한문 #특수임용 특수임용 #한국사, 한자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대비 한자 자격증 공부 알림 [오온완] 오늘의 온라인암기장 완료 챌린지! [안내] 온라인암기장 프린트 기능 추가 [안내] 통합교과 단원개발도구 8가지 반영 완료 [안내] 원하시는 포스팅 주제가 있으시다면 방명록에 남겨주세요. [초등임용/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빈칸연습 2022 개정 교육과정온라인암기장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 공부자료입니다.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2. 내용체계 3. 성취기준 - 3~4학년군 - 5~6학년군 4. 교수학습 5. 평가 들어가며2022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입니다. 2015개정과 달리 어떤 점이 변화되었는지 기술되어 있으니, 변경점을 위주로 공부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영어과 교육과정 빈칸연습 모음 영어과는 급격히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그 개념과 구성 요소를 재정립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영어과의 총괄적인 핵심역량을 영어 교육의 궁극적 지향점인 (a)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를 새 교육과정 총론의 방향성과 연계하고 있다.(a): 영어 의사소통 역량 ‘(a).. 2024. 5. 4. 2022 영어 성취기준 빈칸 연습 2022 개정 교육과정온라인암기장으로 제공되는 교육과정 공부자료입니다. 1.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2. 내용체계 3. 성취기준 - 3~4학년군 - 5~6학년군 4. 교수학습 5. 평가들어가며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중 '3~4학년군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입니다.영어과 교육과정은 성취기준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시는 분이 많이 계실 듯 하여 가장 먼저 만들었습니다.통문장 학습에 알맞게 빈칸연습장을 만들었으며 성취기준 해설 및 유의사항 파트도 중요한 부분을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1) 이해[4영01-01] 알파벳과 쉽고 간단한 단어의 소리를 듣고 식별한다.[4영01-02] 알파벳 대소문자를 식별하여 읽는다.[4영01-03] 쉽고 간단한 단어, 어구, 문장을 듣고 강세, 리.. 2024. 4. 18. 사회 성취기준 빈칸 연습 (2022개정, 초등임용 대비 온라인암기장) (1) 우리가 사는 곳 [4사01–01] 주변 여러 장소에서의 경험과 느낌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장소감을 나누며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지닌다. └ 성취기준 해설 학생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주변 여러 장소에서의 경험과 느낌을 글, 그림, 심상지도(3가지)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 사람마다 장소감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설정; 장소감이란 장소에 대한 인지, 감정, 태도, 행동을 포괄하는 것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장소에 부여하는 의미나 관심을 뜻함; 장소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장소감의 차이를 이해하고 서로 존중하며, 주변의 장소를 알아가면서 이에 대한 관심을 심화시키는 데 초점 [4사01–02] 주변의 여러 장소를 살펴보고,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방안을 .. 2024. 3. 13.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뒷교 #2 - 평가 파트 온라인암기장 초등임용 중등임용 대비 들어가며교수/학습 파트에 이은 뒷교 평가 파트 온라인암기장입니다. 초등임용 준비하시는 선생님, 중등 수학임용 준비하시는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온라인암기장을 올려봅니다. 자료는 NCIC 교육과정 정보센터(ncic.re.kr)에 게시된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참고하였습니다. 나. 평가 (1) 평가의 방향 (가) 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보를 수집⋅활용하여 학생의 주도적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고 교사의 수업 개선을 돕도록 지속적으로 평가를 실시 (나)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과 일관성을 가지도록 평가를 실시 (다) 학생의 수학 학습을 돕기 위해 수업과 평가를 통합하여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실시 (라) 수학 내용 .. 2024. 3. 9. 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파트 빈칸연습 - 초등임용 중등임용대비 들어가며2022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 교수/학습 및 평가 파트는 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뒷교'파트에 해당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교수/학습 및 평가 파트 중 '교수/학습'을 살펴봅시다. 수업 장면을 주고 관련있는 교수/학습 방향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며 공부해봅시다. 특히 교수/학습 방법 중 수학 교과 역량 관련 내용과 7가지 교수/학습 방안은 숙지해둡시다.교수/학습1. 교수/학습의 방향 (가)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평가와 일관성을 가지도록 교수⋅학습을 운영 (나)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수학의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통합적으로 교수⋅학습 → 수학 교과 역량을 함양하고 수리 소양을 갖추게 함 (다)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학을 학습.. 2024. 3. 7. [2022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파트 빈칸연습 *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역량과 연계 →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융합 역량, 시각적 소통 역량, 정체성 역량, 공동체 역량을 미술과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교과 역량으로 설정 * 이 교과 역량을 토대로 학생은 대상과 현상에 대한 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 1)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고 2)미술 문화 창조에 주도적으로 참여 * 미술과 공통 교육과정은 1)성격 및 2)목표, 3)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구성 체계를 가짐 1) 성격은 미술의 정의와 역할, 미술 교과의 핵심 역할, 학생들이 얻는 교육적 성과, 미술과의 중요성과 의의를 다루고 미술과의 목표와 긴밀하게 연계 2) 목표는 미술교육의 지향과 미술과 학습을 통해 길.. 2024. 2. 2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