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온라인암기장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2022개정, 중등한문임용 대비)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참고 한문 임용고시를 준비하시는 선생님께서 요청하셔서 만들어봅니다. 교육과정 자료 활용하셔서 꼭 좋은 결과 꾸리시길 좋겠습니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즉,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2025. 1. 19.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0 * 추구집-46花紅黃蜂鬧화홍황봉료꽃이 붉으니 노란 벌들이 시끄럽고草錄白馬嘶초록백마시풀이 푸르니 백마가 운다山雨夜鳴竹산우야명죽산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草蟲秋入牀초충추입상풀벌레는 가을에 침상으로 기어오른다참고 鬧: 시끄러울 료  * 추구집-47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먼 곳의 물은 하늘과 이어져 푸르고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하여 붉다山吐孤輪月산토고륜월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하고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는다   * 추구집-48露凝千片玉로응천편옥이슬이 맺히니 천 조각의 구슬이고菊散一叢金국산일총금국화가 흩어지니 한 떨기 금이다白蝶紛紛雪백접분분설흰 나비는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이고黃鶯片片金황앵편편금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이다참고 白蝶紛紛雪과 黃鶯片片金에 쓰인 수사법은 비유법 중 '.. 2024. 7. 31.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9 [썸네일] * 추구집-41馬行千里路마행천리로말은 천리의 길을 가고牛耕百畝田우경백무전소는 백 이랑의 밭을 간다馬行駒隨後마행구수후말이 길을 가니 망아지가 뒤따르고牛耕犢臥原우경독와원소가 밭을 가니 송아지가 들판에 누워있다참고 畝: 이랑 무  * 추구집-42狗走梅花落구주매화락강아지 달려가니 매화 꽃이 떨어지고鷄行竹葉成계행죽엽성닭이 걸어가니 대나무 잎이 이루어진다竹筍黃犢角죽순황독각죽순은 누런 송아지 뿔이고蕨芽小兒拳궐아소아권고사리순은 어린아이의 주먹이다참고 蕨: 고사리 궐  * 추구집-43天淸一雁遠천청일안원하늘 맑은데 한 마리 기러기 멀리 날아가고海闊孤帆遲해활고범지바다가 넓은데 외로운 돛단배가 천천히 간다花發文章樹화발문장수꽃은 문장 나무에서 피어나고月出壯元峰월출장원봉달은 장원봉에서 나온다  * 추구집-44柳色黃金嫩.. 2024. 7. 30.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8 * 추구집-36初月將軍弓초월장군궁초생 달은 장군의 활이고流星壯士矢유성장사시유성은 장사의 화살이다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땅을 쓰니 황금이 나오고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문을 여니 만복이 온다  * 추구집-37鳥逐花間蝶조축화간접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鷄爭草中蟲계쟁초중충닭은 풀 속의 벌레를 다툰다鳥喧蛇登樹조훤사등수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에 오르고犬吠客到門견폐객도문개가 짖어대니 나그네가 문에 이르렀나 보다.참고 喧:지껄일 훤; '떠들다', '지저귀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참고 吠:짖을 폐  * 추구집-38高峯撐天立고봉탱천립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버티고 서 있고長江割地去장강할지거긴 강은 땅을 가르며 흘러간다碧海黃龍宅벽해황룡택푸른 바다는 황룡의 집이고靑松白鶴樓청송백학루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이다  * 추구집-39月到梧桐上.. 2024. 7. 29.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7 [썸네일]* 추구집-31白鷺千點雪백로천점설백로는 천 점의 눈이고黃鶯一片金황앵일편금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 금이다桃李千機錦도리천기금복숭아꽃과 오얏꽃은 천 베틀의 비단이고江山一畵屛강산일화병강산은 한 폭의 그림 병풍이다  * 추구집-32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새는 못 가 나무에서 자고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棹穿波底月도천파저월노는 파도 밑 달을 뚫고船壓水中天선압수중천배는 물 속의 하늘을 누른다참고 棹: 노 도  * 추구집-33高山白雲起고산백운기높은 산에는 흰 구름이 일고平原芳草綠평원방초록넓은 언덕에는 고운 풀이 푸르다水連天共碧수연천공벽물은 하늘과 이어져 함께 푸르고風與月雙淸풍여월쌍청바람은 달과 함께 모두 맑다참고 與: ~와 함께  * 추구집-34山影推不出산영추불출산 그림자는 밀어내도 나가지 않.. 2024. 7. 27.
명심보감 원문 해석 - 22. 팔반가팔수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幼兒 或詈我하면 我心에 覺歡喜하고 父母 嗔怒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一喜懽一不甘하니 待兒待父心何懸고 勸君今日逢親怒어든 也應將親作兒看이니라 해석  어린아이가 혹 나를 꾸짖으면 나는 마음에 기쁨을 깨닫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나를 꾸짖고 성내면 나의 마음에 도리어 좋게 여겨지지 않는다. 하나는 기쁘고 하나는 좋지 않으니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이 어찌 현격한가. 그대에게 권고하니 지금 어버이에게 꾸지람을 듣는다면 반드시 자기의 어린 자식에게 꾸지람을 들음과 같이 하라.  兒曹는 出千言하되 君聽常不厭하고 父母는 一開口하면 便道多.. 2024.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