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암의 생각상자
5~6학년군 영어 밑교학방 빈칸연습
1. 듣기 영역
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대화가 일어나는 상황, 전후 관계, 배경 지식 등을 활용하여 의미를 파악하도록 지도하고 듣기 전 활동, 듣기 중 활동, 듣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지도한다.
[참고] 듣기 활동 3단계 및 각 단계별 활동 숙지하기!
2) 연속된 두세 개의 지시나 설명을 들은 뒤 어떻게 나타내도록 지도할 수 있는가? 순서에 맞게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음(동작이 키워드)
3) 연속된 두세개의 지시나 설명을 표현할 때 이용할 수 있는 3가지? 실물, 그림, 인형
4)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듣고 행동으로 반응하기(TPR), 듣고 지시대로 행동하기 등 듣고 이해한 정도를 다양한 과업 수행하기로 나타내도록 지도
5) 간단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능 세부 정보 5가지? 인물, 행동, 장소, 시간, 감정
6) 비교 표현이 사용된 말이나 대화를 듣고 할 수 있는 활동: 알맞은 그림에 표시하기, 그림 그리기, 번호쓰기, 순서 정하기
7) 말이나 대화를 듣고 상황을 파악한 뒤, 주요 낱말 및 배경 지식 등을 활용하여 그림이나 도표에 담긴 세부 정보를 파악하도록 지도
8) 대상을 비교하는 표현이 담긴 말이나 대화를 듣고 알맞은 그림 찾기, 틀린 부분 표시하기, 그림을 그리거나 번호 표시하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지도
9) 말이나 대화를 듣고 겉으로 드러나는 세부 정보,줄거리, 목적, 일이 일어난 순서 파악하기 및 내용에는 나오지 않으나 장소나 인물을 추측하기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도
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1) 듣기 평가는 무엇에 따라 적절한 수준의 언어 재료를 활용해야 하는가? 평가 목적과 대상, 방법
2) 듣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과업 수행을 활용한다.
3) 초등학교 5~6학년 수준의 듣기 활동을 평가할 때에는 사실적 이해 문항과 추론적 이해 문항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O,X) O
[참고] 추론적 이해 문항의 예시
(가) 그림에 대한 묘사를 들으면서 묘사에는 나와 있지 않은 그림의 장소 등을 추측하기
(나) 그림에 관한 간단한 설명을 듣고 불충분한 부분을 완성하기
4) 간단한 설명을 듣고 이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방법 4가지?
(가) 그림으로 나타내기
(나) 불충분한 그림 완성하기
(다) 빠진 그림 그려 넣기
(라) 목표 지점에 표시하기
5)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제시된 그림, 도표, 지도, 숫자 등을 해석하거나 세부 정보나 줄거리, 목적 및 순서 등을 파악하는 정도를 평가함
내체표의 학습 요소와 연결지어 학습하기
2. 말하기 영역
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듣고 따라 말하기, 묻고 답하기 등의 활동을 통해 듣기와 말하기 활동이 자연스럽게 연계되도록 지도하기
[참고] language skills가 어떻게 연결되는가?
2) 게임, 역할놀이 등의 활동을 통해 *유창성을 기르도록 지도하기 *(=fluency)
3) 동작이나 그림을 보고 한 문장 이상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하거나 문장 릴레이 등을 통해 학습자들이 말하기 활동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4)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물건을 보여주며 말하기 활동을 하게 할 때 교사가 유의해야 할 사항은?
학습 동기를 자연스럽게 유발시켜 편안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참고] 답안의 핵심 키워드는 학습 동기와 (anxiety를 줄일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입니다.
5) 성취기준 [6영02-02]주변 사람에 관해 쉽고 간단한 문장으로 소개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활동은? 자기 가족이나 친구의 생김새, 옷차림, 직업이나 장래 희망에 대해 말하기
6) 성취기준 [6영02-03]주변 사람과 사물에 관해 쉽고 간단한 문장으로 묘사할 수 있다. 에 해당하는 활동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집, 교실 및 학교 등을 묘사하기
[참고] 5), 6)번 문항에 해당하는 활동은 게임이나 역할놀이 등과 연계하여 유창성을 기르도록 할 수 있음
7) 다음 <보기> 활동과 관계 있는 학습 활동 유형은? (3가지) 협동학습, 과제수행, 프로젝트 학습
<보기> 기차표나 비행기 표를 예약해야 하는 상황, 가족들과 여행을 계획해야 하는 상황 등을 제공하고 학습한 표현들을 질문하기와 대답하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발화해 볼 수 있게 한다.
8) 김 교사: 학생들이 장래희망에 관해 묻고 답하는 활동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할까요? / 수석 교사: 우선 (A)듣기와 말하기 활동이 연계되어야 하겠죠. 아울러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면 개개인이 좋아하여 알찬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 (A)와 관련하여 김 교사가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쓰시오. 의미 전달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1) 말하기 평가를 위한 채점 척도
(가) 말하기 평가 원리에 의한 척도를 응용
(나) 과업에 고유한 척도를 별도로 만들어 사용
2) 말하기 능력을 발현시키고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발화 도출 기법을 사용한다.
3) *진단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수준을 확인한 후 교수·학습 방법에 적용하도록 한다.
*(=diagnostic test/evaluation)
4) 말하기 평가는 과업의 성격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발화를 위한 준비 시간을 적절히 주고 말하기 능력을 발현시킨 후 측정하도록 한다.
5) 간단한 문장으로 소개하기, 묘사하기, 설명하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점검할 수 있는 3가지 요소는? 말의 속도, 발음, 학습한 어휘의 사용 정도
6) 제시 형태와 응답 형태를 가진 과업들, 즉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한 과업을 평가 목표에 적절하게 반영한다면 실제적인 의사소통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7)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의 참여 정도와 의욕, 소집단 활동에서의 배려와 관용 등의 대인 관계 능력 등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대한 평가도 고려한다.
[참고] (=affective domain)
8) 관찰평가에서 효과적인 관찰을 위해서는?
(가) 주요 내용을 기술
(나) 체크리스트 활용
(다) 일관성 있는 관찰을 위해 한 번 이상의 관찰
3. 읽기 영역
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읽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단계별로 지도한다.
2) 소리 내어 읽는 과정이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연습만이 되지 않도록 활동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다른 언어 기능과 통합하여 의미 있는 활동 만들기
3) 쉽고 짧은 글을 읽을 때에는 세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사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참과 거짓 문장 가리기, 퀴즈, 읽고 과제 완성하기 등의 활동을 적용할 수 있음
4) 글 수준의 읽기 단계에서 초등학생 수준에 알맞은 학습 전략을 활용하도록 지도하면 학습자들 스스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
5) 줄거리나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읽기가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구안하여야 한다. 관련 활동 3가지를 설명하시오.
(가) 쉽고 짧은 글을 읽고 대강의 줄거리 파악하기
(나) 친숙한 이야기를 읽고 문장을 순서대로 배열하기
(다) 글을 읽고 간단한 메모 작성하기
6) 학습자들 수준에 적합한 놀이나 게임을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되 지나치게 경쟁적인 게임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으며 영어에 자신감이 부족한 학습자들이 소외될 수 있으므로 협동 활동을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함
7) 게임을 활용할 때에는 불예측성 및 불확실성을 적절히 활용하여 흥미와 학습 효과를 함께 거두도록 함
8) 읽기 활동을 다른 언어 영역과 자연스럽게 통합이 되도록 구성하여 언어 습득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도록 함
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1) 사실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주로 하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추론적 이해 문항도 포함시킨다.
2) 그림이나 도표에 대한 짧은 글을 읽고 세부 정보를 파악하는 평가는 사실적 내용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둠
3) 성취기준 [6영03-02]그림이나 도표에 대한 쉽고 짧은 글을 읽고 세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와 관계 있는 평가 방법은?
(가) 지필 평가
(나) 글을 읽고 퀴즈에 답하기
(다) 참과 거짓 문장 가리기
(라) 글과 관련된 과제 완성하기
4) 성취기준 [6영03-04]쉽고 짧은 글을 읽고 줄거리나 목적 등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와 관계 있는 평가 방법은?
(가) 글을 읽고 한두 문장으로 말하기
(나) 글을 읽고 메모 작성하기
[참고] 말하기 or 쓰기 언어 영역과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
5) 의사소통상황 속에서 여러 언어 기능을 활용하는 통합적인 지도 과정을 반영하여 평가도 통합형 과제로 실시할 수 있다.
6) 평가의 방법을 지필평가, 교사평가, 상호평가, 자기평가, 포트폴리오 등 다양하게 적용
4. 쓰기 영역
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
1) 쓰기 활동의 수준은 음성 언어 및 읽기 활동 수준보다 약간 (높게/낮게) 구성할 수 있다. 낮게
2) 초기에는 반복적인 따라 쓰기, 통제 쓰기 등을 통해 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하고, 점차 유의미한 쓰기 활동을 통해 쓰기의 가치와 즐거움을 알 수 있도록 지도
[참고] 쓰기 활동의 유형별로 어떤 순서로 지도해야 하는지 정리해보세요.
3) 듣고 쓰기에서는 소리와 철자 관계를 생각하며 써 보도록 유도하고, 학습자 스스로 철자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정적 피드백을 제공함
4) 구두로 익힌 문장을 지도할 때 짧고 쉬운 문장부터 쓰게 하고, 표현이 쉬워도 단어의 구조가 어려운 것은 나중에 지도
5) 다양한 쓰기 활동을 활용하되 따라 쓰기, 보고 쓰기, 완성하여 쓰기, 듣고 쓰기의 순으로 점진적으로 수준이 높아지도록 함.
6) *실물이나 그림과 같은 시각적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영어로 문장을 쓰는데 있어서 인지적 부담감을 줄임 *(=realia)
7)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유도해야 할 것 2가지?
(가) 쓰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 및 학습자 상호간의 협력을 유도
(나) 결과물로서 쓰기와 과정으로서의 쓰기를 모두 즐길 수 있도록 유도
8) 교사의 교정 및 학습자 상호간의 교정을 통해 알파벳 대소문자와 문장 부호 등 영어 표기법을 이해하고 바르게 쓸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9) 영어 표기법을 지도할 때 주요 지도 내용 4가지?
(가) 단어와 단어 사이를 띄어 쓰는 것 지도
(나) 단어, 구, 문장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여 쓰는 것 등을 익힐 수 있도록 지도
(다) 문장의 첫 글자와 나(I)는 항상 대문자로 시작한다는 것 지도
(라) 쉼표, 물음표, 따옴표 등 구두점의 사용을 바르게 할 수 있도록 지도
10) 영어의 표기법을 익히는 활동을 할 때 국어의 표기법과 공통점,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학습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음
11) 학습자가 쓰기의 과정을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계획 단계, 쓰기 단계, 수정 단계 혹은 쓰기 전 활동, 쓰기 중 활동, 쓰기 후 활동으로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음
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1) 쓰기 평가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쓰기 실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함
2) 평가 과정 및 결과는 다음 수업의 교수 학습 개선을 위해 활용함
3) 교사에 의한 관찰, 지필, 포트폴리오 등의 수행평가 외에 자기평가, 학생 상호평가 등 학습자들에 의한 평가를 부분적으로 반영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
좋은 수업을 위한 생각상자
'임용고시 대비 온라인암기장 > 2015 개정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빈칸연습 / 5~6학년군 (0) | 2023.08.02 |
---|---|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빈칸연습 / 3~4학년군 (2) | 2023.08.01 |
[2015 영어과 교육과정] 3~4학년군 밑교학방 온라인연습장 (4) | 2023.07.09 |
영어 성취기준 연습장 | 초등임용대비 온라인암기장 (0) | 2023.07.02 |
[초등임용 암기장] 영어 내체표,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내용체계표 (0) | 2023.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