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 공부/추구집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

by 온암 2024. 7. 16.

 

- 이 글은 추구집 원문을 4구절씩 묶어 학습하기 용이하도록 작성하였습니다.

- 원문 학습 후 원문/해석 온라인암기장을 붙여두었습니다.

 

 

추구집-1

天高日月明 천고일월명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地厚草木生 지후초목생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자라는도다.
月出天開眼 월출천개안
달이 나오니 하늘이 눈을 뜬 것이고
山高地擧頭 산고지거두
산이 높으니 땅이 머리를 든 것이다.

 

 

추구집-2

東西幾萬里 동서기만리
동서는 몇 만리인가?
南北不能尺 남북불능척
남북은 자로 잴 수도 없다.
天傾西北邊 천경서북변
하늘은 서북쪽 가로 기울어져 있고
地卑東南界 지비동남계
땅은 동남쪽 경계가 낮다.

 

 

추구집-3

春來梨花白 춘래이화백
봄이 오니 배꽃이 희고
夏至樹葉靑 하지수엽청
여름이 다가오니 나뭇잎이 푸르다.
秋凉黃菊發 추량황국발
가을이 서늘하니 노란 국화가 피어나고
冬寒白雪來 동한백설래
겨울이 차가우니 흰 눈이 내린다.

 

 

추구집-4

日月千年鏡 일월천년경
해와 달은 천년의 거울이요
江山萬古屛 강산만고병
강산은 만고의 병풍이로다.
東西日月門 동서일월문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南北鴻雁路 남북홍안로
남과 북은 기러기들의 길이로구나.

 

[참고] 萬古(만고): 오랜 세월 동안.

[참고] 鴻雁(홍안): 큰 기러기와 작은 기러기.

 

 

 

추구집-5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봄 물은 사방의 못에 가득하고
夏雲多奇峯 하운다기봉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도 많아라.
秋月揚明輝 추월양명휘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고
冬嶺秀孤松 동령수고송
겨울 산엔 외로운 소나무가 빼어나도다.

 


추구집-1연습

天高日月明 천고일월명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地厚草木生 지후초목생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자라는도다.
月出天開眼 월출천개안
달이 나오니 하늘이 눈을 뜬 것이고
山高地擧頭 산고지거두
산이 높으니 땅이 머리를 든 것이다.

 

추구집-2연습

東西幾萬里 동서기만리
동서는 몇 만리인가?
南北不能尺 남북불능척
남북은 자로 잴 수도 없다.
天傾西北邊 천경서북변
하늘은 서북쪽 가로 기울어져 있고
地卑東南界 지비동남계
땅은 동남쪽 경계가 낮다.

 

 

추구집-3연습

春來梨花白 춘래이화백
봄이 오니 배꽃이 희고
夏至樹葉靑 하지수엽청
여름이 다가오니 나뭇잎이 푸르다.
秋凉黃菊發 추량황국발
가을이 서늘하니 노란 국화가 피어나고
冬寒白雪來 동한백설래
겨울이 차가우니 흰 눈이 내린다.

 

추구집-4연습

日月千年鏡 일월천년경
해와 달은 천년의 거울이요
江山萬古屛 강산만고병
강산은 만고의 병풍이로다.
東西日月門 동서일월문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南北鴻雁路 남북홍안로
남과 북은 기러기들의 길이로구나.

 

 

추구집-5연습

春水滿四澤 춘수만사택
봄 물은 사방의 못에 가득하고
夏雲多奇峯 하운다기봉
여름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도 많아라.
秋月揚明輝 추월양명휘
가을 달은 밝은 빛을 드날리고
冬嶺秀孤松 동령수고송
겨울 산엔 외로운 소나무가 빼어나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