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개정) 체육 성취기준 온라인암기장 (3-4학년군) (1) 운동[4체01-01] 운동과 체력의 의미를 이해하고 관계를 파악한다.해설운동이 신체 변화와 체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설정; 운동과 체력의 의미를 이해하고 운동 전후의 신체 및 체력의 변화와 특성을 파악하여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4체01-02] 기본 체력운동의 방법과 절차를 익히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운동을 시도한다.해설체력 증진을 위한 기본 운동 방법과 절차를 체험하며 자신의 신체 특성과 체력 수준에 맞게 운동하기 위해 설정; (1)준비 운동, (2)본 운동, (3)정리 운동의 단계별 목적과 주안점을 파악하면서 운동 방법과 절차를 익히고, 자신의 신체 특성과 체력 수준에 적합한 운동을 선택하여 안전하게 시도[4체01-03] 운동과 건강의 의미를 이해하고 관계를 파악한다.해설운동과 .. 2024. 11. 2.
[초등임용] 체육 3-4학년군 신체활동 예시표 빈칸연습 (2022개정) 참고 이 글은 2022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3~4학년군 신체활동 예시를 다루고 있습니다. 5~6학년군은 2025년부터 시험범위로 알고 있어 나중에 만들어 올릴 예정입니다. (참고: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3~4학년군가. 운동1) 기본 체력운동- 체력운동 관련 기본 움직임 기술(걷기, 달리기, 매달리기, 버티기나 굽히기, 밀기, 당기기 등)- 체력운동 기능(오래 달리거나 걷기, 팔굽혀펴기, 윗몸말아올리기, 왕복달리기 등)2) 건강 운동 및 생활 습관- 건강 생활 습관(자세, 체중 및 체형 관리, 위생, 식습관, 정서 관리 활동 등)- 운동 생활 습관(맨손체조, 산책, 계단 오르기, 생활 주변 운동기구 활용하기 등) [2025초등] 나. 스포츠1) 기본 움직임의 기초 기술- 이동 움직임(방향 .. 2024. 10. 20.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3 (11) 땅의 변화[4과11-01] 흐르는 물의 작용과 강 주변 지형의 특징을 관련지을 수 있다.해설강 주변 지형은 흐르는 물에 의한 침식, 운반, 퇴적 작용을 중심으로 다룬다.[4과11-02] 화산의 의미와 화산 활동으로 나오는 물질을 알고, 화산 활동을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다.해설화산 활동과 화산 분출물을 중심으로 학습한다.[4과11-03] 화성암을 관찰하고 분류할 수 있다.해설화성암은 현무암과 화강암만 다룬다.[4과11-04] 화산 활동과 지진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대처 방법을 실천할 수 있다.해설화산 활동의 피해와 이로운 점을 함께 다루며, 지진 발생 원인은 다루지 않는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5∼6학년군 ‘지층과 화석’, 중학교 1∼3학년군 ‘지권의 변화’.. 2024. 10. 17.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2 (6) 지구와 바다[4과06-01] 지구가 대기로 둘러싸여 있음을 알고, 지구 표면을 구성하는 육지와 바다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4과06-02] 바닷물의 특징을 육지의 물과 비교하고,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지형을 조사할 수 있다.해설바닷물의 침식, 운반, 퇴적 작용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4과06-03]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알고, 갯벌의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설득/홍보할 수 있다.해설밀물과 썰물은 바닷물의 높이 변화를 다루는 수준이며, 조석 용어와 원인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 초등학교 5∼6학년군 ‘날씨와 우리 생활’, 중학교 1∼3학년군 ‘날씨와 기후변화’, ‘수권과 해수의 순환’과 연계된다.• 여행에서 촬영한 사진 자료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 2024. 10. 16.
3~4학년군 과학 성취기준 빈칸 연습장 (2022개정) #1 들어가며2022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니 영역이 참 많네요... 세 파트로 나눠 3~4학년군 성취기준을 올려볼 예정입니다.추가하는대로 #초등임용 과학 페이지에 반영해놓겠습니다.  (1) 힘과 우리 생활[4과01-01] 일상생활에서 힘과 관련된 현상에 흥미를 갖고, 물체를 밀거나 당길 때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해설무거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와 가벼운 물체를 밀고 당길 때 드는 힘의 크기를 느끼는 데 중점을 둔다.[4과01-02] 수평잡기 활동을 통해 물체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4과01-03] 무게를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는 저울이 필요함을 알고, 저울을 사용해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해설무게와 질량을 구분하지 않으며 무게를 비교하는 단위로 g, ㎏(2가지)을 사용한다.[4과01-04].. 2024. 10. 11.
2022 개정 교육과정) 체육 뒷교 빈칸 *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뒷교참고 2022 체육 뒷교를 분리하였습니다 >> 2022 체육 뒷교 가. 교수/학습  (1) 교수 학습의 방향    (가) 신체활동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 신체활동 역량 함양을 위해 내용 요소를 깊이 있게 경험할 있는 수업 주제,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 지도      -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성취 기준 >> 체육 수업 주제, 과제 활동 >> 신체활동을 위한 학습, 신체활동에 관한 학습, 신체활동을 통한 학습, 과정 중심 평가 >> 신체 활동 역량 함양      **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학습 과정 환류가 일어남     (나) 움직임의 체계적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 움직임 요소를 이해, 움직임의 원리를 기술 수행 적용, 다양한 신.. 2024.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