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8 * 추구집-36初月將軍弓초월장군궁초생 달은 장군의 활이고流星壯士矢유성장사시유성은 장사의 화살이다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땅을 쓰니 황금이 나오고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문을 여니 만복이 온다  * 추구집-37鳥逐花間蝶조축화간접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鷄爭草中蟲계쟁초중충닭은 풀 속의 벌레를 다툰다鳥喧蛇登樹조훤사등수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에 오르고犬吠客到門견폐객도문개가 짖어대니 나그네가 문에 이르렀나 보다.참고 喧:지껄일 훤; '떠들다', '지저귀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참고 吠:짖을 폐  * 추구집-38高峯撐天立고봉탱천립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버티고 서 있고長江割地去장강할지거긴 강은 땅을 가르며 흘러간다碧海黃龍宅벽해황룡택푸른 바다는 황룡의 집이고靑松白鶴樓청송백학루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이다  * 추구집-39月到梧桐上.. 2024. 7. 29.
두 가지 이상의 음을 가진 한자 모음 한자는 하나의 음을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음을 지니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어를 중심으로 여러 음을 가지는 한자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更 ➀ 고칠 경  ➁ 다시 갱 • 變更(변경): 바꾸어 고침 • 更新(갱신):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 降 ➀ 내릴 강  ➁ 항복할 항 • 降雨(강우): 비가 내림 • 降伏(항복): 적에게 굴복함 車 ➀ 수레 거  ➁ 수레 차 • 自轉車(자전거): 두 다리의 힘으로 움직이는 두 바퀴로 이루어진 탈것 .. 2024. 7. 28.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7 [썸네일]* 추구집-31白鷺千點雪백로천점설백로는 천 점의 눈이고黃鶯一片金황앵일편금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 금이다桃李千機錦도리천기금복숭아꽃과 오얏꽃은 천 베틀의 비단이고江山一畵屛강산일화병강산은 한 폭의 그림 병풍이다  * 추구집-32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새는 못 가 나무에서 자고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스님은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린다棹穿波底月도천파저월노는 파도 밑 달을 뚫고船壓水中天선압수중천배는 물 속의 하늘을 누른다참고 棹: 노 도  * 추구집-33高山白雲起고산백운기높은 산에는 흰 구름이 일고平原芳草綠평원방초록넓은 언덕에는 고운 풀이 푸르다水連天共碧수연천공벽물은 하늘과 이어져 함께 푸르고風與月雙淸풍여월쌍청바람은 달과 함께 모두 맑다참고 與: ~와 함께  * 추구집-34山影推不出산영추불출산 그림자는 밀어내도 나가지 않.. 2024. 7. 27.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6 * 추구집-26花落以前春화락이전춘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이고山深然後寺산심연후사산이 깊어진 뒤에 절이 있다山外山不盡산외산불진산 밖에 산이 있어 다하지 아니하고路中路無窮노중로무궁길 가운데 길이 있어 끝이 없다참고 山外山不盡과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 첩첩산중(疊疊山中)  * 추구집-27日暮蒼山遠일모창산원해가 저무니 푸른 산이 멀어보이고天寒白屋貧천한백옥빈날씨가 차니 초가집이 쓸쓸하다小園鶯歌歇가원앵가헐작은 동산(=소원궁)엔 꾀꼬리 노래가 쉬고長門蝶舞多장문접무다커다란 문(=장문궁)엔 나비들 춤이 많다참고 歇: 쉴 헐  * 추구집-28風窓燈易滅풍창등이멸바람 부는 창문엔 등불이 꺼지기 쉽고月屋夢難成월옥몽난성달빛 드는 집에는 꿈 이루기 어렵다日暮鷄登塒일모계등시해가 저무니 닭은 닭장에 들고天寒鳥入簷천한조입첨날씨가 차가우니 .. 2024. 7. 26.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5 * 추구집-21洗硯魚呑墨세연어탄묵벼루를 씻으니 물고기가 먹물을 삼키는 듯 하고煮茶鶴避煙자다학피연차를 끓이니 학이 연기를 피해 날아 가는 듯 하다松作延客蓋송작연객개소나무는 손님 맞는 양산이 되고月爲讀書燈월위독서등달은 글 읽는 등불이 된다참고 硯: 벼루 연참고 煮: 삶을 자; '끓이다', '굽다'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 추구집-22花落憐不掃화락련불소꽃이 떨어져도 사랑스러워 쓸지 못하고月明愛無眠월명애무면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을 못 이룬다月作雲間鏡월작운간경달은 구름 사이의 거울이 되고風爲竹裡琴풍위죽이금바람은 대나무 속의 거문고가 된다참고 憐(불쌍히여길 련)은 '사랑하다'의 의미로도 쓰임   * 추구집-23掬水月在手국수월재수물을 움켜쥐니 달이 손에 있고弄花香滿衣농화향만의꽃을 희롱하니 향기가 옷에 가득하다.. 2024. 7. 24.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4 * 추구집-16江山萬古主강산만고주강산은 만고의 주인이고人物百年賓인물백년빈사람은 백년의 손님이다世事琴三尺세사금삼척세상일은 석 자 거문고에 실어 보내고生涯酒一盃생애주일배생애는 한 잔의 술로 달랜다참고 盃: 잔 배  * 추구집-17山靜似太古산정사태고산이 고요하니 태고와 같고日長如少年일장여소년해는 기니 소년과 같다靜裏乾坤大정리건곤대고요함 속에서 하늘과 땅의 큼을 알겠고閒中日月長한중일월장한가한 가운데 세월의 긺을 느낀다참고 裏: 속 리  * 추구집-18耕田埋春色경전매춘색밭을 갈며 봄빛을 묻고汲水斗月光급수두월광물을 길으며 달빛을 함께 뜬다西亭江上月서정강상월서쪽 정자에는 강위로 달이 뜨고東閣雪中梅동각설중매동쪽 누각엔 눈 속에 매화가 피었다참고 斗: 말 두/ 구기 두(주) - 문맥상 '뜨다', '푸다'로 해석  * 추.. 2024.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