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구집 원문 및 해석 - DAY 10 * 추구집-46花紅黃蜂鬧화홍황봉료꽃이 붉으니 노란 벌들이 시끄럽고草錄白馬嘶초록백마시풀이 푸르니 백마가 운다山雨夜鳴竹산우야명죽산 비는 밤에 대나무를 울리고草蟲秋入牀초충추입상풀벌레는 가을에 침상으로 기어오른다참고 鬧: 시끄러울 료  * 추구집-47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먼 곳의 물은 하늘과 이어져 푸르고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하여 붉다山吐孤輪月산토고륜월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하고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는다   * 추구집-48露凝千片玉로응천편옥이슬이 맺히니 천 조각의 구슬이고菊散一叢金국산일총금국화가 흩어지니 한 떨기 금이다白蝶紛紛雪백접분분설흰 나비는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이고黃鶯片片金황앵편편금누런 꾀꼬리는 조각조각 금이다참고 白蝶紛紛雪과 黃鶯片片金에 쓰인 수사법은 비유법 중 '.. 2024. 7. 31.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6 * 추구집-26花落以前春화락이전춘꽃이 떨어지기 전이 봄이고山深然後寺산심연후사산이 깊어진 뒤에 절이 있다山外山不盡산외산불진산 밖에 산이 있어 다하지 아니하고路中路無窮노중로무궁길 가운데 길이 있어 끝이 없다참고 山外山不盡과 같은 의미의 사자성어: 첩첩산중(疊疊山中)  * 추구집-27日暮蒼山遠일모창산원해가 저무니 푸른 산이 멀어보이고天寒白屋貧천한백옥빈날씨가 차니 초가집이 쓸쓸하다小園鶯歌歇가원앵가헐작은 동산(=소원궁)엔 꾀꼬리 노래가 쉬고長門蝶舞多장문접무다커다란 문(=장문궁)엔 나비들 춤이 많다참고 歇: 쉴 헐  * 추구집-28風窓燈易滅풍창등이멸바람 부는 창문엔 등불이 꺼지기 쉽고月屋夢難成월옥몽난성달빛 드는 집에는 꿈 이루기 어렵다日暮鷄登塒일모계등시해가 저무니 닭은 닭장에 들고天寒鳥入簷천한조입첨날씨가 차가우니 .. 2024. 7. 26.
추구집 원문 독음 해석 - DAY 3 * 추구집-11夫婦二姓合부부이성합부부는 두 성이 합하였고兄弟一氣連형제일기연형제는 한 기운이 이어졌다父慈子當孝부자자당효부모는 사랑하고 자식은 마땅히 효도해야하며兄友弟亦恭형우제역공형은 우애하고 아우 또한 공손해야 하느니라   * 추구집-12父母千年壽부모천년수부모는 천년의 장수를 누리시기를 기원하고子孫萬世榮자손만세영자손은 만 대의 영화를 누리기를 바란다愛君希道泰애군희도태임금을 사랑하여 도가 태평할 것을 바라고憂國願年豊우국원년풍나라를 걱정하여 해마다 풍년들길 원한다   * 추구집-13妻賢夫禍少처현부화소아내가 어질면 남편의 화가 적고子孝父心寬자효부심관자식이 효도하면 부모의 마음은 너그러우니라子孝雙親樂자효쌍친락자식이 효도하면 두 어버이가 기뻐하시고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참고 親은 .. 2024. 7. 20.
명심보감 원문 해석 - 4. 효행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時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鞫我하시니 哀哀父母여 生我劬勞삿다 欲報深恩인대 昊天罔極이로다 해석 시경에 이르길, 아버지는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는 나를 기르시니 애달프다, 부모님이시어!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 애쓰고 수고하시었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자 한다면 넓은 하늘도 끝이 없네라 하였다.참고 鞠(=鞫):기를 국, 昊:하늘 호   子曰 孝子之事親也에 居則致其敬하고 養則致其樂하고 病則致其憂하고 喪則致其哀하고 祭則致其嚴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효자의 부모 섬기기란 거함에는 그 공경함을 다하고 봉양함에는 그 즐거움을 다하고, 병이 드시면 그 근심을.. 2024. 6. 9.
명심보감 원문 해석 - 3. 순명편 명심보감 원문 해석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정기편안분편존심편계성편근학편훈자편성심편(상)성심편(하)입교편치정편치가편안의편존심편언어편교우편부행편증보편팔반가효행편2염의편근학편  子曰 死生이 有命이오 富貴在天이니라 해석 공자가 말하길, 죽고 사는 것은 명에 있고 부자가 되고 귀하게 되는 것은 하늘에 있다고 하였다.  萬事分已定이어늘 浮生空自忙이니라 해석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해져 있거늘 세상 사람들이 부질없이 바쁘게 움직인다.참고 空은 '부질없이'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景行錄에 云 禍不可倖免이오 福不可再求니라 해석 경행록에 이르길, 재앙은 요행으로는 면하지 못하고 복은 두 번 다시 구할 수 없다고 하였다.  時來風送藤王閣이오 運退雷轟薦福碑라 해석 때가 이르니 바람이 등왕각(藤王閣)으로 보내고 운이 없으니 벼락.. 2024. 6. 8.